겨울 계절풍 (겨울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개념
우리나라 겨울철에 유라시아 대륙에서 불어오는 북서풍 계열의 탁월풍.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겨울 계절풍은 우리나라 겨울철에 유라시아 대륙에서 불어오는 북서풍 계열의 탁월풍이다. 시베리아 고기압이 중국 남부 지방으로 확장하고 알류샨 저기압도 강화되면 서고동저형의 기압 배치를 이루게 된다. 이때에는 강한 북서풍 계열의 계절풍이 불어오면서 한반도 영서 지방에는 강한 한파가 발생하거나, 황해를 넘어오면서 기단변질이 나타나면서 태백산맥의 서사면 또는 소백산맥의 북서사면에 지형성 대설을 초래하기도 한다.

목차
정의
우리나라 겨울철에 유라시아 대륙에서 불어오는 북서풍 계열의 탁월풍.
내용

겨울 계절풍(季節風)은 우리나라 겨울철에 주1 대륙에서 불어오는 북서풍 계열의 탁월풍(卓越風)을 일컫는다. 이러한 북서풍 계열의 겨울철 탁월풍은 대륙 내부에서 발달하는 시베리아 주2에서 발원하여 한반도를 향하여 불어오게 된다. 아시아의 대륙 내부에는 겨울철에 한랭건조(寒冷乾燥)한 시베리아 고기압이 발달하게 된다. 시베리아 지역에서는 겨울철에 주4가 80% 이상에 달하는 눈이 30㎝ 이상 쌓이면서 약하게 입사하는 태양 주5의 대부분도 반사된다. 이에 따라 지표면이 매우 차가워 인접한 대기도 매우 차가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유라시아 대륙 내부는 수체(water bodies)로부터 거리가 매우 먼 주6가 크기 때문에 매우 건조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시베리아 지역에서는 대기의 연직 구조 측면에서도 무겁고 찬 공기가 지표면에 눌러져 있어, 그 상공으로 고도 상승에 따라 오히려 기온이 상승하는 매우 이례적으로 강한 기온 역전층(temperature inversion 주8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층 종관 기후도 상에서도 시베리아 고기압은 지상에서 약 3㎞ 상공의 700h㎩에 다다르면 그 실체가 잘 확인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베리아 고기압을 일반적으로 키작은 고기압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강한 대륙 고기압의 남동쪽에 위치해 있는 한반도는 겨울철에 한랭건조한 바람의 영향을 받는다. 우리나라가 속한 동아시아 지역은 온대 기후 지역 중에서는 유일하게 기온이 매우 낮고 강한 겨울 계절풍의 영향을 가장 강하게 받는 지역에 해당한다. 특히, 겨울철에는 극소용돌이가 극심하게 중위도 방향으로 사행하면서 이러한 시베리아 고기압이 중국 주10 지역으로 강하게 남하한 가운데, 한반도를 기준으로 동쪽, 동해상에 지형성 동해선풍에 의해 저기압이 강하게 발달하게 되면 뚜렷한 주11의 기압배치를 이루게 된다. 이때에는 강한 북서풍 계열의 계절풍이 불어오면서 태백산맥소백산맥의 북서 방향에 위치한 우리나라 중부 지역에 강한 한파가 발생하게 된다. 때때로 남하한 시베리아 기단이 상대적으로 따뜻한 황해를 지나면서 변질되어 많은 수증기를 머금고 태백산맥의 서사면 또는 소백산맥의 북서사면을 타고 오르면서 많은 지형성 주12 현상을 초래하기도 한다. 차갑고 주13 강한 북서 계절풍이 불 때에는 우리나라 가장 남쪽에 위치한 제주도 지역에서도 한라산 중산간 및 산간 지역에 많은 눈이 내리기도 한다.

이러한 겨울철 북서 계절풍은 강약을 반복하면서 나타나는데, 겨울철 북서 계절풍이 강하게 불 때에는 한랭건조한 공기가 유입되면서 철원, 춘천주14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강추위를 가져온다. 반면, 겨울철 북서 계절풍이 약화되면 일시적인 따뜻한 날씨가 수일 동안 나타난다. 이를 가리켜 삼한사온(三寒四溫) 현상이라고 일컬어 왔으나 실제 자료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정확하게 3일이 춥고 4일이 따뜻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한사온 현상은 극소용돌이(circumpolar vortex)의 사행 패턴(meandering pattern)에 따라 시베리아 기단의 남북 확장 후퇴가 반복하면서 상대적인 한기(寒期)와 난기(暖期)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전통 취락 입지와 세부 구조는 대체로 겨울 계절풍의 영향이 반영되어 있었다.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을 가장 직접적으로 받는 낭림산맥-태백산맥의 서쪽 지역에서는 풍수지리학(風水地理學)적으로도 대체로 남동향 사면 지역에 전통 취락이 입지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전통 주15 구조 측면에서도 겨울 계절풍으로부터 초래되는 강추위를 막기 위한 온돌과, 창과 문의 크기가 적고 전체적으로 폐쇄적인 특징을 보인다. 물론 현대적인 아파트나 주택의 경우에는 다른 경제적인 요인들이 그 입지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이사를 할 때에는 여전히 창문의 채광이나 난방 장치의 안정성 등의 도시 풍수에 대해서 관심을 갖게 된다.

최근 인위적 주16 증가에 따라 겨울철 지구온난화(地球溫暖化)의 경향도 나타나기도 하나, 이에 따라 극지방에서도 북극 주17이 여름철에 많이 녹아 없어지면서 가을철-겨울철에 걸쳐 시베리아 내부의 눈피복 면적이 오히려 늘어나기도 하였다. 그 결과, 일시적으로 2000년대 후반∼2010년대 초반에는 시베리아 고기압에서 발원한 강한 북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지구온난화에 역행하는 주18와 폭설이 자주 발생하기도 하였다. 그 이후에는 겨울철 북서 계절풍이 한반도 방향으로 확장하는 현상이 줄어들면서 이러한 저온극한현상과 대설 현상의 발생빈도는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승호, 『기후학 개정판』(푸른길, 2012)
이현영, 『한국의 기후』(법문사, 2000)
주석
주1

유럽과 아시아를 아울러 이르는 이름. 우리말샘

주2

주로 겨울철에 시베리아에서 생기는 찬 고기압.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동아시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말샘

주3

아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하여 그 아래 지역을 가리키며, 우리나라 국토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면적은 22만 1336㎢. 우리말샘

주4

중성자가 물체에 쬐여졌을 때, 중성자가 들어간 면을 통하여 되돌아 나올 확률. 물체에 입사한 전체 중성자 수에 대한 반사되어 되돌아 나온 중성자 수의 비율이다. 우리말샘

주5

물체에서 방출되는 전자기파의 에너지. 우리말샘

주6

바다에서부터 거리에 따라 생기는 기후의 차. 해안 지방은 기후의 차가 적은 해양성 기후로 되고, 내륙 지방은 대륙성 기후로 된다. 우리말샘

주7

러시아의 우랄산맥에서 태평양 연안에 이르는 북아시아 지역. 석유, 천연가스, 철, 금 따위의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16세기 말기에 우즈베크계의 시비르한국(Sibir汗國)이 멸망한 후 모두 러시아령이 되었다. 러시아 혁명 이후 풍부한 자원이 개발되어 세계적으로 주목의 대상이 되었다. 면적은 1295만 ㎢. 우리말샘

주8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상승하여 있는 기층. 역전층 내에서는 대기가 안정되어 있어서 안개나 스모그가 확산되기 어렵기 때문에 대기 오염이 심해진다. 우리말샘

주10

중국의 중심부를 흐르는 강. 티베트고원 동북부에서 시작하여 윈난(雲南)ㆍ쓰촨(四川)ㆍ후베이(湖北)ㆍ장시(江西)ㆍ안후이(安徽)ㆍ장쑤(江蘇) 따위의 성(省)을 거쳐 동중국해로 흘러 들어간다. 이 유역은 예로부터 교통, 산업, 문화의 중심지였다. 길이는 약 6,300km. 우리말샘

주11

지형이나 기압 따위가 서쪽 지역은 높고 동쪽 지역은 낮은 상태. 기상학에서는 겨울에 우리나라에 형성되는 기압 배치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12

눈이 내림. 또는 그 눈. 우리말샘

주13

날씨 따위가 춥고 차다. 우리말샘

주14

강원도의 대관령 서쪽에 있는 지역. 우리말샘

주15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거나 옛날 방식으로 지은 가옥. 우리말샘

주16

태양열이 지표면에서 반사되어 지구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는 기체. 막을 형성하여 지구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해 생명체가 살아갈 수 있게 해 준다. 이산화 탄소, 메탄, 프레온 가스, 아산화 질소, 수증기 따위가 이에 속한다. 우리말샘

주17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북극해의 얼음이 녹는 현상. 1978년 이래 알래스카 연안의 얼음이 10년마다 9%씩 감소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우리말샘

주18

겨울철에 기온이 갑자기 내려가는 현상. 한랭 기단이 위도가 낮은 지방으로 이동하면서 생긴다. 우리말샘

주19

갑자기 많이 내리는 눈.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