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봉상시(分奉常寺)
조선시대 제도의 정비과정이후 봉상시(奉常寺)의 전신(前身)의 관서. # 내용
고려 말과 조선 초의 사농시(司農寺) 혹은 전농시(典農寺)를 세조 때 봉상시에 병합시킨 뒤에 부르던 칭호이다. 이는 고려 충선왕 때 전농사(典農司)란 이름으로 처음 설치되어 적전(籍田)의 관리와 국가 제사에 소요되는 곡식 및 희생(犧牲)을 담당하였다.
조선에서도 1392년 개국과 함께 사농시를 설치하고 판사(判事) 2원, 소경(少卿) 2원, 승(丞) 1원, 겸승 1원, 주부(主簿) 1원, 직장 2원을 두었다가, 1401년(태종 1) 전농시로 개칭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