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令)
영(令)은 조선시대에 중앙과 지방에 두었던 정5품 관직의 하나이다. 조선 전기에는 소격서(昭格署), 종묘서(宗廟署), 사직서(社稷署), 평시서(平市署), 사온서(司醞署), 의영고(義盈庫), 장흥고(長興庫) 등 중앙에 주로 설치되었고, 조선 후기에는 각 전(殿), 능(陵), 원(園) 등 지방에 주로 설치되어 장관의 역할을 수행하였다.영(令)은 고려시대 제도를 계승하여 조선 건국 직후부터 설치가 확인된다. 1392년(태조 1)에는 경시서(京市署), 사온서, 사선서(司膳署)에 종5품 영을, 공조서(供造署)와 개성부 오부에 종6품 영을, 전옥서(典獄署), 전구서(典廏署), 서적원(書籍院)^1]에 종7품 영을, [도염서(都染署)에 종8품 영을 설치하였다. 1443년(세종 25)에는 종친부에 정5품 영을 설치하였다. 영은 1466년(세조 12)에 관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