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악후보(大樂後譜)
⑥ 권6: 『시용향악보』의 만대엽(慢大葉: 가사 없음), 감군은(感君恩: 平調 指入), 한림별곡(翰林別曲: 가사 없음), 서경별곡(拍이 빠져 있음), 쌍화점(雙花點: ‘상화○에 상화 사라고’ 詞임), 보허사(步虛詞: ‘碧烟籠曉’詞), 영산회상(靈山會相: ‘靈山會相佛菩薩’의 가사가 붙어 있음). ⑦ 권7: 『시용향악보』의 북전(北殿: 가사 없음), 동동(動動, 餘音 井邑餘音同: 계면조), 동동(動動, 舞童 牙拍呈才 女妓呈才同: 가사 없음), 정읍(井邑, 指入 舞鼓呈才 用界面調: 가사 없음), 자하동(紫霞洞: 계면조 1·2로 되어 있고, 가사 없음). 『증보문헌비고』에 『대악후보』는 세조시대의 음악을 수록했다고 하였는데, 『세조실록』 권48의 악보에는 <보태평 保太平>과 <정대업>, 권49에는 아악의 원구악과 속악의 원구악의 두 가지 악보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