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가사상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개념
신채호가 1920년대에 한국고대사연구를 통해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전통적인 민족사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낭가사상은 신채호가 1920년대에 한국고대사연구를 통해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전통적인 민족사상이다. 신채호는 일제의 역사 왜곡과 날조에 맞서 한국사를 재정립함으로써 민족의 자강과 독립을 위한 민족정신을 고취하고자 했다.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정신사관이 아니라 단군조선시대의 수두제전, 연맹왕국시대의 영고·동맹·무천·소도, 고구려의 선배제도, 여기서 발전한 신라의 화랑도 등 면면히 이어져 온 우리 고유 민족사상의 구체적인 형태들을 역사 속에서 복원했다. 이렇게 우리 고유의 민족사상 속에서 민족의 저력을 확인하고 이를 자주독립이라는 시대정신의 씨앗으로 삼고자 한 사상이다.

정의
신채호가 1920년대에 한국고대사연구를 통해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전통적인 민족사상.
개설

당시 민족사학자들은 일제식민정책의 이론적 근거가 되고 있던 일본 관학자들의 식민사관에 정면으로 맞서, 왜곡되고 날조된 한국사를 재정립하여 국가와 민족의 자강과 독립을 위한 민족정신을 고취하고자 하였다. 이들 역사인식의 일반적인 특징인 정신사관은 신채호의 낭가사상을 비롯하여 박은식(朴殷植)의 ‘혼’, 문일평(文一平)의 ‘조선심(朝鮮心)’, 정인보(鄭寅普)의 ‘얼’, 최남선(崔南善)의 ‘조선정신’ 등으로 전개되었다.

이 가운데서도 낭가사상은 여타의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정신사관에 비해 보다 구체적으로 인식, 서술되고 있어 단연 이채롭다. 낭가사상은 민족적이고 근대지향적인 실학사상과 당시 서구의 주된 사상 조류인 민족주의를 수용, 보다 구체적인 역사방법과 이론으로 전통적인 민족사상의 기원 · 전승 · 기능을 구명하였다. 동시에 국권회복을 위한 근대적 자주독립정신을 앙양하여 민족의 진로와 시대정신을 밝히고자 한 데 낭가사상의 특성이 있다.

내용

낭가사상은 단군조선의 수두제전〔단군제〕에서 연맹왕국시대의 영고 · 동맹 · 무천 · 소도로, 그리고 고구려의 선배제도 및 신라의 화랑제도로 변천해 왔다. 이 사상이 주체적인 전통사상으로서 구체적으로 제도화되어 역사적인 구실과 기능을 하게 된 것은 고구려의 선배제도에서부터였다. 종래 신라 고유의 것으로만 이해되었던 화랑제도는 이러한 고구려의 선배제도를 모방하여 발전된 것이다. 이 같이 성장한 낭가사상은 고려 중기까지 명맥을 유지하다가 묘청(妙淸)의 난이라는 역사적 대사건으로 국풍파(國風派)가 유학파에게 패하여 몰락함으로써 사라지고 말았다.

이러한 신채호의 견해는 ‘평양자선인왕검지택(平壤者仙人王儉之宅)’이라는 신라 『선사(仙史)』의 문구에 주목하여 “선인 왕검이라 함은 삼국시대에 수두교도의 일단을 선배라 칭하고, 선배를 이두자로 ‘선인(仙人)’ 또는 ‘선인(先人)’이라 기록한 것이며, ‘선사’ 곧 왕검설교(王儉設敎) 이래 역대 선배의 사적을 기록한 것이니, ……”와 “낭은 곧 신라의 화랑이니, 화랑은 본래 상고(上古) 소도제단의 무사, 곧 그때에 ‘선비’라 칭하던 자인데, 고구려에서는 조의선인(皂衣仙人)이라 하고, 신라에서는 미모를 취하여 화랑이라 하였다.”는 낭가의 개념과 유래 및 발전과정을 구명함에서부터 비롯되었다.

국선(國仙) 화랑진흥대왕이 곧 고구려의 ‘선배’제도를 닮아온 자라……선배를 ‘신수두’ 단전(壇前)의 경기회에서 뽑아, 학문에 힘쓰며, 수박(手搏) · 사예(射藝) · 기마 · 턱견이 · 깨금질 · 씨름 등 각종 기예를 하며, 원근 산수에 탐험하며 시가와 음악을 익히며, 공동으로 한 곳에 숙식하며, 평시에는 환난구제와 성곽 · 도로 등의 수축 등을 자임하고, 난시에는 전장에 나가 죽음을 영광으로 알아 공익을 위하여 일신을 희생하는 것이 ‘선배’와 같으니, ……”에서 낭가의 선출과 그 사상으로서의 사회적 기능을 밝혔다. 이어 묘청의 난을 부각시켜 사상사적 측면에서 시고(試考)하여 낭가사상의 쇠퇴과정까지 구명하고자 하였다.

신채호는 “역사란 무엇이뇨, 인류사회의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 시간부터 발전하여 공간부터 확대하는 심적 활동상태의 기록이다.”라고 역사를 정의하였다. 여기서 핵심인 ‘심적 활동상태’는 한국사에 적용할 때 낭가사상 활동의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역사이론에 의해, 낭가사상과 이에 대한 고대사인식의 대강(大綱)인 고대사의 체계화(상고사의 체계화, 부여 · 고구려 중심의 체계화)와 구강회복론(舊疆恢復論 : 상고사의 영역, 한사군의 반도제외설, 고구려의 수 · 당과의 항쟁 및 나 · 제의 해외경략설)이 서술될 수 있었다.

‘민족 · 국가의 흥망성쇠가 그 사상의 추향 여하에 달린 것’으로 보는 신채호의 사안(史眼)은 근대 한국인의 의식 저변으로 침잠되어버린 낭가사상을 웅건한 한국고대사의 구체적인 역사경험의 구명을 통해 국난의 현실적인 역사현장으로 회상시킴으로써, 비아인 일본으로부터 국권을 회복하자는 데 궁극적인 뜻을 두고 있었다. 결국, 낭가사상은 그의 한국고대사의 인식과 서술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한걸음 더 나아가 국권회복의 실천적 이념으로까지 발전되었던 것이다.

의의와 평가

이상과 같은 낭가사상은 객관적이라는 고증이 강렬한 주관적인 신념을 수반하여 다소 무리하게 입론된 것이 한계이다. 그러나 반면에 그것이 가지는 사학사에 있어서의 의의는 자못 큰 것이다. 즉, 소박한 형태로나마 종교학적 · 민속학적 방법을 채용했고, 한국사의 흐름을 사상사적 측면에서 고찰해 방법론에 있어 역사인식의 단계를 높였고, 화랑도와 그 사상의 기원에 대한 재해석과 더불어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개성을 밝혔다는 점이다.

이에 덧붙여, 낭가사상은 입론의 궁극적인 목표가 시대정신을 반영한 조국의 씩씩한 자주독립에 있었기 때문에 민족사적 의의까지 함께 가지게 되는 것이다. 낭가사상이 비록 외세침략기의 시대적 소산물이라 해도, 발전적인 역사방법론과 선명한 역사이론에 의해 절실하게 서술되었고, 또한 자주적이고 전통적인 구실과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가능성과 신념을 제시해주었다는 점에서 한국사의 현재와 미래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참고문헌

『단재신채호전집(丹齋申采浩全集)』
「신채호(申采浩) 낭가사상(郎家思想)의 배경(背景)과 구조(構造)」(배용일, 『단재신채호선생순국50주년추모논총(丹齋申采浩先生殉國50周年追慕論叢)』-단재신채호사상(丹齋申采浩思想)과 민족독립운동(民族獨立運動)-, 형설출판사, 1986)
「신채호(申采浩)의 낭가사상고(郎家思想考)」(배용일, 『단재신채호선생탄신100주년기념논집(丹齋申采浩先生誕辰100周年記念論集)』-단재신채호(丹齋申采浩)와 민족사관(民族史觀)-, 형설출판사, 1980)
「신채호(申采浩)의 고대사인식고(古代史認識考)」(배용일, 『백산학보(白山學報)』 23,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