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보부상(褓負商) 조직 안에 있던 비방청(裨房廳)의 임원.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조선 후기
내용 요약

대방(大房)은 조선시대에 보부상(褓負商) 조직 안에 있던 비방청(裨房廳)의 임원을 말한다. 조선 후기 장시의 발달과 함께 성장한 보부상은 19세기를 기점으로 조직을 결성해 나가기 시작하였다. 대원군 시기를 거치면서 조정에서는 보부상 조직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한편 각종 특혜를 부여받은 보부상 조직을 통해 필요한 재정 수입을 확보하였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보부상(褓負商) 조직 안에 있던 비방청(裨房廳)의 임원.
내용 및 변천사항

조선시대 보부상(褓負商)은 조선 후기 주1를 기반으로 물품을 판매하여 이윤을 추구하던 상인들로, 판매 방식과 취급 물종에 따라 보상(褓商)과 부상(負商)으로 구분하였다. 보상은 보자기에 판매할 물품을 싸서 메고 다녔는데 주로 비단, 가죽, 종이, 인삼 등 부피가 작은 물종을 취급하였다. 반면 지게에 물품을 얹어 다니며 거래하였던 부상은 어물, 소금, 콩, 그릇, 누룩, 목재 수공품 등을 판매하였다.

19세기 이후로 보부상들은 하나의 유통권 안에서 조직체를 결성하여 이익을 추구하였다. 보부상 조직은 주로 충청 주2 저산팔읍(苧産八邑)을 중심으로 확인되는데, 유통권을 예산 · 덕산 · 당진 · 면천을 하나로, 아산 · 평택 · 온양 · 신창을 하나로, 홍주 · 결성 · 보령 · 청양 · 대흥을 하나로, 부여를 하나로 4개 권역으로 나눠 각 유통권에 보부상 조직을 두었다.

보부상 조직은 혼인 여부에 따라 기혼자 중심의 요중회(僚中會)와 미혼자 중심의 비방청(裨房廳)으로 구분된다. 요중회에는 주4, 주5, 접장(接長), 주6, 집사(執事) 등이 있었다. 비방청은 동몽청(童蒙廳)으로도 불렀는데 이 안에는 대방(大房), 비방(裨房), 비집사(裨執事) 등이 있었다. 요중회의 영위와 비방청의 대방은 각각 해당 모임의 수장급이었다.

한편 조정에서는 보부상 조직을 공인함으로써 중앙 주3의 재정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이용하였다. 특히 흥선대원군이 집권하면서 조정에서는 보부상의 조직적 역량을 인정하고, 이들에게 군문의 양곡 수송과 정찰 등을 담당하게 하였다. 또한 그 대가로 조정에서는 보부상 조직에서 취급하는 물품을 독점 판매할 수 있도록 혜택을 부여하였다.

이와 같이 보부상 조직과 중앙 정부의 유착관계는 혜상공국(惠商公局)을 설치하는 데 이르렀고, 혜상공국에서는 보부상에 대한 특권을 더욱 확대하여 나갔다. 그러나 러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며 조선에 대한 내정간섭이 심해지자 정부로부터 공인받은 보부상의 특권은 폐지되기에 이르렀다.

참고문헌

단행본

조재곤, 『한국 근대사회와 보부상』(혜안, 2001)
유원동, 『이조후기 상공업사 연구』(한국연구원, 1968)

논문

조영준, 「조선후기 상인 조직의 인원 구성과 변동: 저산팔읍 상무우사의 사례 분석」(『한국학』 43-4,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조영준, 「19-20세기 보부상 조직에 대한 재평가: 원홍주육군상무우사를 중심으로」(『경제사학』 47, 경제사학회, 2009)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보통 5일마다 열리던 사설 시장. 보부상이라는 행상이 있어서 농산물, 수공업 제품, 수산물, 약재 따위를 유통하였다.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각 도를 둘로 나누었을 때 그 한쪽을 이르던 말.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황해도의 경우에는 서쪽을 이르고, 경기도의 경우에는 북쪽을 이르던 말이다.    우리말샘

주3

관원들이 국가 행정에 관계되는 사무를 보는 곳을 통틀어 이르는 말.    바로가기

주4

한 마을이나 단체의 우두머리가 되는 사람.    우리말샘

주5

봇짐장수나 등짐장수의 우두머리.    바로가기

주6

조선 후기에, 보부상 조합의 실무를 맡아보던 사람.    우리말샘

집필자
최주희(덕성여자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