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흥창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관리의 녹봉을 관장하던 호조 소속 정4품 아문.
제도/법령·제도
제정 시기
1308년(충렬왕 34)
시행 시기
고려시대, 조선시대
주관 부서
호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광흥창(廣興倉)은 조선시대에 관리의 녹봉을 관장하던 호조 소속 정4품 아문이다. 광흥창의 연원은 고려 말 좌창에서 찾을 수 있다. 광흥창의 규모는 점점 확대되어 1470년(성종 1)에는 풍저창의 강창을 합속하였다. 조선 후기에도 광흥창은 상당한 재원을 보유하였는데, 18세기 광흥창의 재원은 호조 내 8개 기관 중에서 3번째로 가장 많았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관리의 녹봉을 관장하던 호조 소속 정4품 아문.
설치 연혁

고려 말에 관료들에게 녹봉을 지급하던 광흥창을 계승하여 성립되었다. 『고려사(高麗史)』 백관지(百官志)에 따르면 광흥창은 1308년(충렬왕 34)에 좌창(左倉)을 고쳐 만든 창고였다. 당시 광흥창은 정5품 사(使) 1인, 정6품 부사(副使) 1인, 정7품 승(丞) 1인을 두었는데, 공민왕 대에 이르러 사는 종5품, 부사는 종6품, 승은 종7품으로 강등되고, 종8품 주부(主簿)가 추가되었다.

조선이 건국된 후 태종이 대대적으로 관제를 개편하면서 광흥창의 위상도 변화하였다. 먼저 1405년(태종 5)에 6조 속아문 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광흥창은 호조의 소속으로 편제되었고, 1414년(태종 14)에는 주부가 부승(副丞)으로 개칭되었다. 1466년(세조 12)에는 사가 정4품의 수(守)로 전환되었고, 승과 부승은 각각 관원 1인씩 없애는 대신 부봉사 2인을 두었다.

마찬가지로 1466년(세조 12) 부사, 승, 부승의 명칭이 각각 주부, 직장, 봉사로 개칭되었는데, 최종적으로 『경국대전』에 수록된 광흥창 관원의 명칭과 인원은 정4품 수 1인, 종6품 주부 1인, 종8품 봉사 1인, 정9품 부봉사 1인이다. 한편 『경국대전』에 따르면 서리는 총 10명을 두었다.

1470년(성종 1)에는 광흥창에서 수용할 창고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풍저창(豊儲倉)강창(江倉)을 광흥창에 이속시키는 조치가 이루어졌다. 한편 흉년으로 세입이 감소하여 광흥창의 세입으로 녹봉을 지급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곤 하였는데, 이때에는 군자감(軍資監)에서 부족한 수량을 받아오기도 하였다.

내용

관료의 녹봉을 지급하였던 광흥창은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중요한 창고였다.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기재된 18세기 호조 내 주요 8개 기관 중에서 별영(別營)과 군자감에 이어 3번째로 많은 재원을 보유한 사실은 이를 잘 보여준다.

또한 1719년(숙종 45)에 광흥창의 서리 수가 『경국대전』에 규정된 10명보다 14명 많은 24명으로 집계된 것을 보면 18세기에 이르러 광흥창의 업무가 번다해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후 『속대전』에서는 광흥창 서리를 서원(書員)으로 강등시키면서 인원을 15명으로 증원하였다. 이와 같이 문무 관료의 녹봉을 관장하던 광흥창은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꾸준하게 정비가 이루어졌다.

참고문헌

원전

『경국대전(經國大典)』
『고려사(高麗史)』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동국여지지(東國輿地志)』
『세조실록(世祖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속대전(續大典)』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태종실록(太宗實錄)』

단행본

강제훈, 『조선초기 전세제도 연구-답험법에서 공법 세제로의 전환』(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논문

최주희, 「17~18세기 중반 중앙정부의 各司員役 감축 노력과 그 의의」(『조선시대사학보』 94, 조선시대사학회, 2020)
임성수, 「조선후기 녹봉제 연구」(『동방학지』 16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5)
김덕진, 「선조대 호조의 삼수미 징수와 별영 설치」(『국사관논총』 105, 국사편찬위원회, 2004)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