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암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 학자 정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1년에 간행한 시문집.
문헌/고서
편찬 시기
1901년(광무 5)
간행 시기
1901년(광무 5)
저자
정식(鄭栻)
편자
정호선
권책수
6권 3책
권수제
명암집(明庵集)
판본
목활자
표제
명암집(明庵集)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명암집』은 조선 후기 학자 정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1년에 간행한 시문집이다. 저자의 현손 정호선이 간행하였다. 총 6권 3책의 목활자본으로, 권두에 조덕상·조성가의 서문과 권말에 이원배·허유·정호선·정규석 등의 발문이 있다. 시(詩) 653수를 비롯해 서(書), 기(記), 발(跋), 녹(錄), 전(傳) 등의 산문이 수록되어 있다.

키워드
정의
조선 후기, 학자 정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1년에 간행한 시문집.
저자 및 편자

정식(鄭栻)의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경포(敬甫), 호는 명암(明庵)이다. 정식은 1683년(숙종 9)에 출생하였다. 청나라가 들어선지 약 40년 후에 태어났으나 중국 명(明)나라를 정통 왕조 국가로 인정하여 청나라를 오랑캐 나라로 간주하고 배척하였으며, 조선이 청나라와 군신(君臣) 관계를 맺은 일을 굴욕으로 여겼다. 이 때문에 평생 동안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초야에서 포의(布衣)의 신분으로 일생을 마쳤다.

서지사항

『명암집』은 총 6권 3책의 목활자본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등에 소장되어 있다.

편찬 및 간행경위

정식의 문집은 본래 10여 권의 분량이었으나 조덕상(趙德常)이 산정(刪定)한 것이 고본(稿本)으로 보존되어 전해졌다. 여기에 정식의 현손(玄孫) 정호선(鄭好善)이 수록되지 않은 유문을 수집하여 편집한 후에 부록을 붙여 1901년(광무 5)에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덕상· 조성가(趙性家)의 서문과 권말에 이원배(李元培)·허유(許愈)·정호선·정규석(鄭圭錫) 등의 발문이 있다.

구성과 내용

시(詩) 547제 653수를 비롯해 서(書) 18편, 기(記) 7편, 발(跋) 4편, 녹(錄) 6편, 전(傳) 2편, 상량문(上樑文) 1편, 제문(祭文) 4편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는 대부분 사경(寫景: 풍경을 묘사)·기행(紀行)·감흥(感興)·영회(詠懷)와 관련된 작품이다. 그러나 심회(心懷)를 드러내는 데 있어 세간의 공명과 인연을 끊게 된 데 대한 자각이 지나치게 노출되어 있는 편이며, 만년에 지은 시는 은거지락(隱居之樂)에 치중한 작품이 많다.

저자는 일평생 종주대의(宗周大義)를 숭상한 사람으로, 명나라의 멸망과 청나라의 건국에 대한 분노와 청나라와 군신 관계를 맺은 조정에 대한 울분을 읊은 작품이 있다. 저자는 표면적으로는 유가(儒家)를 표방했지만 내면적으로는 도선(道仙)을 추구했다. 시에서 ‘선(仙)’과 ‘학(鶴)’의 시어가 자주 보이고, 김시습(金時習)의 생애와 문학을 흠모하는 마음이 드러나는 점도 이와 관련된 내용으로 볼 수 있다.

기의 「촉석루중수기(矗石樓重修記)」에는 이름난 기생들에 대한 언급이 있다. 특히 「의암비기(義巖碑記)」는 해당 비석이 세워진 내력과 함께 임진왜란 당시 왜장을 유인하여 순국한 논개(論介)의 사적이 기술되어 있으며, 비명(碑銘)은 사언팔구 격구운체(隔句韻體)로 되어 있다.

발은 엄자릉(嚴子陵)·제갈량(諸葛亮)·주희(朱熹)의 초상화, 이백(李白)의 착월도(捉月圖)에 대해 썼다.

녹은 「관동(關東)」·「청학동(靑鶴洞)」·「두류(頭流)」·「가야산(伽倻山)」·「금산(錦山)」·「월출산(月出山)」 등의 작품이 있으며, 강산을 두루 유람하고 지은 기행문이다.

참고문헌

논문

이명희, 「明庵 鄭栻의 漢詩 硏究」 (『어문연구』 90, 어문연구학회, 2016)
許捲洙, 「明庵 정식의 生涯와 詩文學에 대한 考究」 (『남명학연구』 17, 慶尙大學校 南冥學硏究所, 2004)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