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포유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 학자 정홍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0년에 간행한 시문집.
문헌/고서
편찬 시기
1930년
간행 시기
1930년
저자
정홍현(鄭弘鉉)
편자
정재회(鄭載恢)
권책수
2권 1책
권수제
사포선생유집(沙浦先生遺集)
판본
목활자본
표제
사포집(沙浦集)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사포유집』은 조선 후기 학자 정홍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0년에 간행한 시문집이다. 2권 1책의 목활자본으로, 권두에 노상직(盧相稷)과 허찬(許巑)이 쓴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현욱(李鉉郁)·심광택(沈光澤)·정의회(鄭義恢)가 쓴 발문이 있다. 시(詩) 128수를 비롯해 축문(祝文), 가장(家狀), 기(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정의
조선 후기, 학자 정홍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0년에 간행한 시문집.
저자 및 편자

정홍현의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원길(元吉), 호는 사포(沙浦)이다. 1648년(인조 26)에 진사시에 주1. 송정렴(宋挺濂, 16211684) · 장응일(張應一, 15991676) · 이원정(李元禎, 16221680) · 권해(權瑎, 16391704) · 유천지(柳千之, 1616~1689) 등과 교유하였다.

편찬 및 간행 경위

1930년에 저자의 후손 정의회(鄭義恢)가 편집 · 간행하였다.

서지사항

『사포유집』은 2권 1책의 목활자본으로, 국립중앙도서관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과 내용

권두에 노상직(盧相稷)과 허찬(許巑)이 1929년에 쓴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현욱(李鉉郁) · 심광택(沈光澤) · 정의회가 1930년에 쓴 발문이 있다.

권1에는 시(詩) 128수, 부(賦) 1편, 축문(祝文) 4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2는 부록으로 훈(訓) · 가장(家狀) · 행장(行狀) · 묘갈명 · 묘지명 각 1편, 만사(輓詞) 13수, 기(記) · 도(圖)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주목할 만한 작품은 다음과 같다.

시는 교유한 인물을 대상으로 지은 증별시(贈別詩)와 만시(挽詩)가 상당수 있어 저자가 교유했던 인물들의 대략을 추정할 수 있다. 「단오(端午)」 · 「춘우(春雨)」 등은 시절의 변화에 따른 감회를 주위 경관과 함께 잘 묘사하였다. 「영남초(詠南草)」는 당시 수입된 지 얼마 되지 않은 담배의 효능과 성질에 대하여 읊은 시이다. 이 외에도 사실적으로 주변 경관을 묘사한 「운계팔경(雲溪八景)」과 「초당팔경(草堂八景)」 등의 작품이 있다.

「불천기부(不薦芰賦)」는 저자가 예제(禮祭)에서 의문나는 점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나라에서 영구히 향사(享祀)하도록 지정한 불천위(不薦位)의 사당이 주희(朱熹)의 『가례(家禮)』와 서로 어긋나는 점을 지적하고 불천위 사당의 우선 순위와 중복된 사항의 처리 등을 논하였다.

「선도(扇圖)」는 당시 조정과 사대부 집안에서 사용한 부채를 소재로 한 작품이다. 당시 사용된 부채의 규격과 제도를 밝혀 두어 조선시대 부채 규격의 변천 과정을 살피는 데에 도움을 준다. 이 밖에 자식들에게 벼슬을 탐하지 말고 학문에 진력하라는 내용의 「유훈(遺訓)」 등의 작품이 있다.

참고문헌

원전

『사포선생유집(沙浦先生遺集)』(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주석
주1

시험에 뽑히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