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호집 ()

유교
문헌
근대, 저자 미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3년에 편찬한 시문집.
이칭
이칭
무호유고(無號遺稿)
문헌/고서
편찬 시기
1903년(광무 7)
권책수
5책
판본
필사본
표제
무호유고(無號遺稿)
소장처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무호집』은 저자 미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3년에 편찬한 시문집이다. 전우와 주고받은 서간문이 수록되어 있어 저자는 전우와 교유했던 한말 호남지방의 학자로 추정된다. 불분권 5책의 필사본으로, 구한말 국내·외 정세를 파악할 수 있는 작품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키워드
정의
근대, 저자 미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3년에 편찬한 시문집.
저자 및 편자

저자 미상(未詳)의 책으로, 편찬자 역시 미상이다. 다만 전우(田愚, 1841~1922)와 주고받은 서간문(書簡文)을 비롯해 전우의 호(號)인 ‘간재(艮齋)’를 두고 적은 「간재서(艮齋序)」 등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저자는 전우와 교유했던 한말 호남지방의 학자로 추정된다.

서지사항

불분권 5책의 필사본이다. 책1에 1903년(광무7)에 ‘서봉(瑞鳳)’이라는 인물이 필사하였다는 필사기(筆寫記)가 적혀 있다.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와 내용

문체별로 구성과 체제를 갖추고 있는 일반적인 시문집과는 달리 문체별로 작품이 분류되어 있지 않으며 별다른 체제 없이 필사되어 있다.

『무호집』에 수록된 작품을 문체별로 재분류하면 시(詩) 1수, 부(賦) 1편, 서(書) 13편, 서(序) 58편, 기(記) 32편, 발(跋) 7편, 논(論) 36편, 설(說) 3편, 잡저(雜著) 39편, 권선문(勸善文) 3편, 상량문(上樑文) 6편, 잠(箴) 5편, 명(銘) 3편, 전(傳) 1편, 행장(行狀) 3편, 뇌사(誄辭) 1편, 제문(祭文) 19편, 찬(贊) 2편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서(序)·잡저·논·기 등의 순으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서(序)에는 「문생계서(門生契序)」·「방재학계서(方齋學契序)」 등 후진 양성과 교육에 대해 저자의 생각을 밝힌 작품을 비롯해 「김해김씨문계서(金海金氏門契序)」·「학림대동계서(鶴林大同契序)」·「의계서(義契序)」 등 각종 계(契)에 대한 취지를 밝힌 작품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간재서(艮齋序)」는 저자가 전우의 호에 대해 쓴 글로, 저자와 전우의 교우 관계를 살필 수 있는 작품이다. 이밖에 벗에게 준 송서(送序)가 다수 수록되어 있다.

잡저의 「척동학문(斥東學文)」과 논의 「척사론(斥邪論)」·「선불론(仙佛論)」 등은 모두 이단(異端)을 배척하는 내용을 담은 작품으로, 전통적 유교 사상에 투철했던 저자의 면모를 보여 준다.

논에는 갑오동학혁명(甲午東學革命)을 비판적으로 해석한 「시사론(時事論)」을 비롯해 「창의론(倡義論)」·「상시론(傷時論)」·「폐과선론(廢科選論)」 등과 같이 당대 여러 가지 국내 문제를 두고 저자의 견해를 피력한 글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무호집』은 저·편자 미상의 필사본으로, 편집 체제 역시 잘 갖추어 있지 않으나 구한말 시대 국내·외 정세에 대한 저자의 견해를 파악할 수 있는 작품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원전

『무호집(無號集)』(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