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관련 정보
동문선(권50) / 화엄불국사수석가여래상번찬
동문선(권50) / 화엄불국사수석가여래상번찬
한문학
개념
인물이나 서화를 찬미하는 한문문체. 찬(讚).
목차
정의
인물이나 서화를 찬미하는 한문문체. 찬(讚).
내용

인물이나 서화를 찬미하는 글체로 남의 좋은 점을 칭송할 때 사용한다. 찬은 ‘송(頌)’과 성격이 같아서 제사에 쓰던 송축사(唐의 顔師古 주)로 신명(神明)에게 고하던 것이다.

후대에 오면서 점차 그 성격이 달라져 신명에게 고하는 것은 도외시되고 인물의 덕을 찬미하는 데로 흐르게 된 듯하다. 찬은 한(漢)나라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주1의 찬을 지은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그 작품이 전하지 않아 형태가 어떠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

여타의 작품을 통하여 볼 때에 형가의 인물됨을 찬미한 정도의 것으로 추측된다. 그 뒤에 이 체를 모방하여 찬을 짓는 사람이 많았고 당대(唐代)에 이르러서는 이 체로 과거까지 보았다고 한다. 찬의 체는 매구가 4언으로 주2하여 운(韻)을 다는 운문으로 짓는 것이 상례이다.

5∼7언 또는 8·9언 등의 장구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와 같은 경우에도 운자는 꼭 단다. 그러나 초기 주3이 『사기(史記)』를 짓고 주4가 『한서(漢書)』를 지을 때 편말에 붙인 찬은 운어가 아니라 산문이었다. 그러던 것이 송나라의 주5이 『후한서(後漢書)』의 찬에서 운문으로 지은 것이다. 그 뒤로 그를 본받게 되어 정식으로 정착된 것이다.

찬의 종류로는 서사증(徐師曾)의 『문체명변(文體明辨)』에서 3종류로 나누고 있다. ① 잡찬(雜贊)으로 인물이나 문장 그리고 서화 등을 찬미한 것, ② 애찬(哀贊)으로 사람의 죽음을 애도하여 그의 덕을 기리는 것, ③ 사찬(史贊)으로 인물의 잘잘못에 포폄을 가하여 논평하는 것 등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애찬과 사찬이 수용은 되었다. 그러나 크게 발전하지 못하고 잡찬만이 위세를 떨쳤다. 찬의 저작은 신라 때에 최치원(崔致遠)의 「화엄불국사 석가여래 수상번찬(華嚴佛國寺釋迦如來繡像幡贊)」에서 시작되었다.

그를 이어서 주6 · 진찬(眞贊) · 상찬(像贊) · 자찬(自贊)과 같이 인물의 영정 옆에 그 덕을 찬미하여 쓴 것이거나 서화의 아름다움을 찬미한 찬이 주종을 이룬다. 그러나 『삼국유사』 등에서 보이는 찬은 승려의 불덕을 칭송한다는 말로 쓰인 것이다.

참고문헌

『동문선』
『문체명변(文體明辨)』(서사증)
주석
주1

중국 전국 시대의 자객(?~B.C.227). 위나라 사람으로, 연나라 태자인 단(丹)의 부탁을 받고 진시황제를 암살하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죽임을 당하였다. 우리말샘

주2

한시에서, 한 구(句) 걸러 대구(對句)가 되는 것. 예를 들면 제1구와 제3구, 혹은 제2구와 제4구가 대구가 되는 경우이다. 우리말샘

주3

중국 전한(前漢)의 역사가(B.C.145?~B.C.86?). 자는 자장(子長). 기원전 104년에 공손경(公孫卿)과 함께 태초력(太初曆)을 제정하여 후세 역법의 기초를 세웠으며, 역사책 ≪사기≫를 완성하였다. 우리말샘

주4

중국 후한 초기의 역사가ㆍ문학가(32~92). 자는 맹견(孟堅). 아버지 표(彪)의 유지를 받아 기전체 역사서인 ≪한서≫를 편집하였다. 작품에 <백호통의>, <양도부(兩都賦)#GT#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5

중국 남조 송 때의 사학자(398~445). 선성(宣城) 태수(太守)로 있을 때 기전체 형식의 ≪후한서(後漢書)≫를 편찬하였다. 몰래 유의강(劉義康)을 옹립하려다가 밀고로 처형되었다. 우리말샘

주6

사람의 얼굴을 그린 그림을 찬양함.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도련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