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산 보덕사 (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유적
근대에 중창된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왕방산(王方山)에 있는 사찰.
이칭
이칭
왕방사(王訪寺), 보덕사(普德寺)
유적/건물
소재지
경기도 포천 왕방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왕산사는 근대에 중창된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왕방산(王方山)에 있는 사찰이다. 창건 시기는 구전으로만 전해 오며 임금이 방문하였다고 하여 왕방사라고 하였다가 조선 중기에 청산과 무영이 중창하고 왕산사라고 사찰명을 바꾸었다고 한다. 1947년에 청매가 옛 절터에 초막 6칸을 지어 복원을 하고 사찰명을 ‘보덕사’라고 하였으나 지금은 다시 왕산사로 고쳤다.

목차
정의
근대에 중창된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왕방산(王方山)에 있는 사찰.
참고문헌

단행본

『봉선사본말사약지(奉先寺本末寺略誌)』 (봉선사, 1977)

인터넷 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포천문화대전(http://pocheon.grandculture.net/pocheon)
주석
주1

불교의 한 종파의 우두머리인 큰절의 관리를 받는 작은 절. 또는 큰절에서 갈라져 나온 절. 우리말샘

주2

건축물 따위의 낡고 헌 것을 손질하며 고치다. 우리말샘

주3

절에 있는 승려들이 거처하는 집. 우리말샘

주4

정당(正堂)과 옥우(屋宇)라는 뜻으로, 규모가 큰 집과 작은 집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집필자
이종수(순천대학교 사학과 교수, 조선불교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