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불곡사 석조 비로자나불 좌상 ( )

창원 불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창원 불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불곡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비로자나불상.
이칭
이칭
불곡사석조비로자나불좌상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창원 불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昌原 佛谷寺 石造毘盧遮那佛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6년 02월 28일 지정)
소재지
경남 창원시 성산구 대암로 55 (대방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불곡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비로자나불상.
개설

196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불상은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의 전형적인 비로자나불상 양식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불곡사 인근 절터 땅에 반쯤 묻혀 있던 것을 1940년 우담스님이 발견하였고, 나중에 대좌가 따로 발견되어 함께 불곡사 비로전에 안치되었다. 따로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같은 세트로 제작된 것인지는 의심의 여지가 있으나, 발견지가 인접해 있고 불상이 제작된 시기의 대좌와 일치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어서 함께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내용 및 특징

머리에는 굵고 납작한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카락[螺髮]이 있고, 신라중대의 불상보다 훨씬 낮아진 상투 모양의 정수리[肉髻]가 펑퍼짐하게 표현되어 현실적인 인간의 모습처럼 보인다. 입체감은 없으나 동그란 얼굴에는 눈 · 코 · 입이 알맞은 크기로 단정하게 배치되었다. 눈두덩이 넓고 가늘게 뜬 눈이 수평을 이루는 것은 신라하대의 불상 얼굴에서 보이는 특징이다. 귀는 짧고 목에 있는 3개의 주름인 삼도(三道)는 분명하게 표시되어 있다. 부처의 외적 특징인 32상(相)80종호(種好)에 포함되는 나발, 육계, 삼도가 다 있으면서도 눈에 띄게 강조되지 않은 것은 신라하대의 불상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특징이다. 이는 초월적인 존재로서의 부처의 신성(神性)보다 인간적인 현실성에 초점을 둔 결과이다. 인간적 측면을 중시하는 것은 신라하대에 널리 퍼진 선종의 영향으로 보인다.

아담한 인체는 양감이 별로 없으며, 목이 짧아서 약간 위축된 것처럼 보이는 어깨는 둥글게 처리되었다. 체구는 작고 평면적이며 결가부좌한 두 다리의 폭이 넓어서 안정감을 주지만 상체에 비해 무릎이 두껍고 높아서 비사실적으로 보인다. 두 손은 가슴에 모아 정확하게 지권인(智拳印)을 했다. 중생의 세계를 뜻하는 왼손을 부처의 세계를 상징하는 오른손으로 감싸 쥐어 진리의 길로 인도한다는 의미를 지닌 지권인은 법의 본체[法身]인 비로자나의 수인(手印)이다.

양 어깨에 걸친 통견(通肩)의 법의는 다리까지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며 흘러내렸는데 특히 다리 위를 앞치마처럼 덮은 모습은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 비로자나불 좌상(보물, 1963년 지정) 등 9세기 후반의 불좌상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이들은 불상의 얼굴, 비례, 조각수법에서 공통된 특징을 보이고 있어서 이 시기의 시대양식으로 생각된다. 불상이 앉아있는 8각의 대좌(臺座)는 연꽃무늬와 보살상, 사자 등이 조각되어 있는 당대 대좌 형식을 충실히 반영한다.

의의와 평가

불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평온해 보이는 작고 둥근 얼굴, 아담한 체구, 안정감 있는 자세와 현실적인 인간의 모습을 연상시키는 낮은 육계, 도식적인 옷 주름, 복잡하게 장식된 8각 대좌에서 9세기 후반의 조각양식을 잘 보여준다. 당시 널리 조성되었던 지권인의 석조비로자나불의 전형적인 예이다.

참고문헌

『한국조각사』(문명대, 열화당, 1984)
「창원 불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에 관한 연구」(지강이, 『문물연구』18,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0)
「창원불곡사비로자나불」(정영호, 『고고미술』61, 한국미술사학회, 1965)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강희정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