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 비로자나불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조각
유물
문화재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민애왕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그와 사촌간인 왕사 심지(心地)가 863년(경문왕 3) 비로암의 창건과 동시에 봉안한 불상이다. 호분으로 채색되어 있으며 대좌광배를 모두 갖춘 완전한 불상으로 중후하면서도 안정된 구도를 보여 준다.

내용

둥근 얼굴, 작은 주1, 부드러운 곡선의 눈썹, 바로 뜬 눈, 평범한 작은 코와 입, 단순하고 간명한 귀 등 단정한 상호(相好)를 이루고 있다. 마치 고요한 선(禪)의 세계에 빠진 선사(禪師)의 모습을 보는 듯하다. 얼굴의 특징은 신체에도 그대로 묘사되어, 좁아진 어깨와 양감(量感) 없는 단정한 체구, 주2을 짓는 두 손의 안정된 자세 등은 생동감이나 긴장감 등을 찾아볼 수 없다.

대의는 양어깨를 감싼 통견(通肩)으로, 얇게 빚은 듯한 평행의 옷주름이 신체를 부드럽게 감싸고 있다. 특히, 팔이나 앞섶에는 섬세하고 규칙적인 옷주름이 평면적으로 묘사되어 다소 형식화되고 추상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오른다리를 위로 하여 가부좌를 튼 다리와 무릎을 감싸고 흘러내린 옷주름은 유려한 곡선을 이루면서 신체의 굴곡을 그대로 드러낸다.

통견의 대의(大衣) 안에는 내의를 입었고, 지권인을 결한 왼손 바로 아래에 내의를 묶은 띠 매듭이 표현되었다. 이러한 착의법(着衣法)은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보물, 1989년 지정)이나 밀양 무봉사 석조여래좌상(보물, 1969년 지정) 등 9세기 불상에서 많이 나타나는 형식이다.

광배는 주형 거신광배(舟形擧身光背)로서 8세기 광배 양식과 유사하면서도 훨씬 복잡하게 표현되었다. 즉, 거신광 내에 두광(頭光)과 신광(身光)을 구분하여, 화려한 주3, 넝쿨무늬, 연꽃무늬 등을 가득 배열하였다. 그리고 두광 · 신광의 선을 따라 구름 위에 결가부좌(結跏趺坐)주4 8구를 배열하였다. 두광 · 신광의 바깥에는 불꽃무늬를 묘사하고 가장 윗부분에는 삼존불 형태의 화불을 배치하였다. 이러한 형식의 광배는 9세기에 유행한 것이다.

대좌는 통일신라시대에 가장 유행한 삼단팔각대좌(三段八角臺座)인데, 상대와 하대에는 연꽃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거의 원통형에 가까운 8각의 중대에는 구름무늬와 주5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전체적으로 화려하고 주6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상대의 꽃무늬는 8세기의 연꽃과는 다른 섬세하고 화려한 것이다. 중대의 안상(眼象)에 부조된 상 역시 형태와 선에서 섬세함이 잘 표현되어 있다.

불상과 관련된 사실이 비로암석탑조성기에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어 신라 말기 조각 양식의 편년에 절대적인 자료가 되는 귀중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조각사』(문명대, 열화당, 1980)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에 대한 고찰-조성시기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홍채아, 『한국고대사탐구』 29,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8)
「동화사 비로암 석조여래좌상 연구」(민병찬, 『팔공산 동화사』, 국립대구박물관, 2009)
「신라민애대왕 석탑기」(황수영, 『사학지』3, 단국대학교사학회, 1969)
「신라하대비로사나불상조각의 연구」(문명대, 『미술자료』21·22, 국립중앙박물관, 1978)
주석
주1

부처의 두 눈썹 사이에 있는 희고 빛나는 가는 터럭. 이 광명이 무량세계를 비춘다. 우리말샘

주2

금강계 대일여래의 인상(印相). 왼손 집게손가락을 뻗치어 세우고 오른손으로 그 첫째 마디를 쥔다. 오른손은 불계를, 왼손은 중생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중생과 부처가 둘이 아니고 하나라는 깊은 뜻을 나타낸다. 우리말샘

주3

불교 그림이나 불교 조각에서 덩굴무늬의 주제(主題)로 사용된 가상적(假想的) 오판화. 우리말샘

주4

부처가 중생을 교화하기 위하여 여러 모습으로 변화하는 일. 또는 그 불신(佛身). 좁은 의미에서는 부처의 상호(相好)를 갖추지 않고 범부, 범천, 제석, 마왕 따위의 모습을 취하는 것을 뜻한다. 우리말샘

주5

실제 동물들의 각기 다른 부분을 혼합하거나 동물의 일부를 변형시켜 문양화한 것. 주술적 의미를 갖기도 한다. 우리말샘

주6

섬세하고 아름답다. 우리말샘

집필자
문명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