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동 산성 ( )

건축
유적
문화재
백제 시대에, 대전광역시 동구 판암동 성재산 정상부에 축조된 석성.
유적
건립 시기
백제
높이
3~4m
둘레
200m
면적
2,096.7㎡
소재지
대전광역시 동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대전광역시
종목
시도기념물(1990년 05월 28일 지정)
소재지
대전광역시 동구
내용 요약

삼정동 산성(三丁洞 山城)은 대전광역시 동구 판암동 성재산 정상부에 축조된 산성이다. 산성이 세워진 성재산은 해발 240m에 불과한 나지막한 산봉이지만 주변 지역을 한눈에 굽어볼 수 있다. 또한 대전~옥천 사이 마달령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산성을 만든 것으로 보아 감시를 위해 축조한 것으로 보인다. 자연 할석으로 성을 쌓았으나 성벽 대부분이 붕괴되어 축성법을 살펴볼 수 있는 구간은 거의 없다. 산성과 관련된 부대시설로는 성내에 건물지가 있을 뿐이며, 남은 성벽에 비해 성내에 평탄면은 많이 남아 있는 편이다.

정의
백제 시대에, 대전광역시 동구 판암동 성재산 정상부에 축조된 석성.
발굴 경위 및 결과

삼정동 산성(三丁洞 山城)은 대전 계족산성(大田 鷄足山城)에서 남쪽으로 흘러내린 지맥의 남쪽 끝에 위치하고 있다. 산성의 동쪽에는 대전에서 옥천으로 통하는 국도가 있다. 이렇게 계족산성은 교통의 요충지에 해당되지만 정밀한 조사가 이루어진 바 없다.

건립 경위

삼정동 산성(三丁洞 山城)은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축성 배경이나 축조 경위는 알 수 없다. 다만 산성 아래로 대전~옥천 간 간선 도로가 지나고 있다는 점에서 이 간선 도로를 감시하기 위해 축조한 것으로 보인다.

형태와 특징

삼정동 산성(三丁洞 山城)은 해발 240m의 나지막한 산봉(山峰) 위에 자리하고 있는 석축 산성이다. 둘레는 200m에 이른다. 산성이 자리한 곳은 주3에서 남쪽으로 흘러내린 지맥의 남쪽 끝단에 해당되는 곳으로, 성내에서 바라보는 전망이 매우 좋은 편이다. 특히 남쪽과 남서쪽을 한눈에 굽어 볼 수 있다. 성벽 전체를 돌로 쌓아올렸으나, 지금은 완전히 붕괴되어 주1을 확인해 볼 수 있는 구간은 없다. 남벽과 북벽에 1~3단 정도의 성벽이 남아 있을 뿐이다.

삼정동 산성(三丁洞 山城)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흘러내린 지맥의 남쪽 끝에 축조되었기 때문에, 동벽과 서벽은 지맥과 평행하게 축조된 반면, 북벽과 남벽은 능선을 가로지르면서 축조되었다. 동벽과 서벽은 급경사 지역을 지나는 것에 비해 남벽과 북벽은 완만한 편이다. 이로 인해 동벽과 서벽은 거의 대부분이 붕괴되고 유실되었으나 남벽과 북벽에는 1~3단 정도의 성벽이 남아 있다. 남벽은 직사각형으로 가공한 돌을 이용하여 쌓았고 북벽은 외면만 가공한 돌을 이용하여 쌓아올렸다. 따라서 북벽은 돌과 돌 사이에 틈이 많고 엉성한 느낌인데, 이는 후대에 고쳐 쌓은 것으로 판단된다.

성문의 흔적은 뚜렷하지 않다. 성벽 대부분이 붕괴되어 성문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성벽의 둘레에 비해 성내에는 평탄면이 많이 남아 있는 편이다. 아울러 능선으로 이어지는 남벽과 북벽에는 사각형의 돌출부가 있는데, 이는 주2으로 판단된다.

의의 및 평가

삼정동 산성(三丁洞 山城)은 대전에서 옥천으로 통하는 간선 도로를 감시하기 위해 축조된 산성으로 보인다. 산성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흘러내린 지맥의 남쪽 끝에 위치한 것으로 볼 때, 옥천에서 대전으로 오는 적을 감시하기보다는 대전에서 옥천으로 오는 적을 감시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대전의 성곽』(대전시, 1993)
『대전의 산성 분포조사』(백제문화재연구원, 2012)

논문

성주탁, 「대전 부근 고대 성지고」(『백제연구』 5,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심정보, 「대전의 고대 산성」(『백제연구』 20, 충남대 백제연구소, 1989)
주석
주1

성을 쌓는 방법. 우리말샘

주2

성 위에 낮게 쌓은 담. 여기에 몸을 숨기고 적을 감시하거나 공격하거나 한다. 우리말샘

주3

대전광역시의 대덕구와 동구 사이에 있는 산. 산줄기의 모습이 닭발과 닮았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동쪽 능선에 백제와 신라의 격전지로 알려진 대전 계족산성이 있다. 높이는 424미터.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서정석(공주대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