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리 산성 ( )

건축
유적
문화재
대전광역시 유성구의 성두산 정상부에 위치한 토성.
이칭
이칭
구성(龜城), 거북이성
유적
높이
3~4m
둘레
615m
면적
4,760㎡
소재지
대전광역시 유성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대전광역시
종목
시도기념물(1989년 03월 18일 지정)
소재지
대전광역시 유성구
내용 요약

구성리 산성(九城里 山城)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성동 성두산 정상부에 위치한 토성이다. 다른 일반적인 산성과 달리 성두산 정상부를 중심으로 한 북성(北城)과 그 남쪽의 산 능선을 따라 길쭉하게 이어진 남성(南城)으로 이루어져 있다. 성벽은 삭토 혹은 판축에 의해 쌓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의 안쪽에는 넓은 평탄면이 조성되어 있다.

정의
대전광역시 유성구의 성두산 정상부에 위치한 토성.
발굴경위 및 결과

구성리 산성(九城里 山城)에 대한 발굴 조사는 이루어진 바 없다. 다만 1998년 충남대학교 고고학과에서 지표 조사를 실시한 후, 1999년과 2000년에 지표 조사를 추가로 실시해 산성의 축조 시기를 짐작해 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수습하였다.

건립경위

구성리 산성은 관련된 기록이 없고, 발굴 조사도 이루어지지 않아 성이 만들어진 정확한 경위를 알 수 없다. 다만 갑천 근처 평지에 솟은 나지막한 구릉 위에 산성이 위치하고 있어서 전투용 산성이라기보다는 행정이나 사무를 담당하던 치소성(治所城)이 아닐까 하는 견해가 제시된 바 있다.

형태와 특징

구성리 산성은 해발 87m의 성두산 정상부에 위치한 토성이다. 그러나 다른 산성들과 달리 성두산 정상부를 에워싼 북성(北城)과 거기에서 남쪽으로 길게 늘어진 능선을 에워싼 남성(南城)으로 이루어져 있다. 북성은 성두산 정상부를 중심으로 원래의 지형을 깎아 성벽을 만들거나 주2의 형태로 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평한 산봉우리 정상부를 에워싸는 형태로 성이 건축된 것이어서 성의 내부가 거의 평평하다. 특히 성의 한가운데는 주변보다 7~10m 정도 높게 마안형(馬鞍形)으로 조성된 평탄면이 있는데, 이는 주3로 알려져 있다. 성문은 북성에서 동문지 1개소만 확인되었다. 북성과 남성이 만나는 성벽에 성문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흔적은 찾지 못했다.

구성리 산성은 나지막한 구릉 위에 있는 산성이 토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백제 노사지현(奴斯只縣)의 치소성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한편, 충남대학교 고고학과와 백제연구소에서 이 산성에 대한 간단한 지표 조사와 제토(除土) 작업을 진행해 토기편과 기와편을 수습하였다. 전체 성벽 중 극히 일부를 제토한 것이나, 수습된 기와편은 산성을 만들던 시기에 사용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런데 이 토기편은 9세기 후반에서 10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이 산성을 백제 노사지현의 치소성으로 보던 기존의 견해와는 시기적으로 큰 차이를 보인다.

의의 및 평가

구성리 산성은 대전 지역 최대 하천인 갑천 주변에 있고, 나지막한 구릉 위에 만들어진 토성이라는 점에서 일반적인 산성이 아닌 치소성으로 알려져 있었다. 특히 산성의 위치가 백제 노사지현이 있던 곳이어서 노사지현의 치소성으로 보는 견해가 있었다. 그러나 이 산성에 대한 지표 조사와 제토 작업을 통해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에 이르는 토기편이 수습되었기 때문에, 발굴 조사를 통해 성이 건축된 시기를 명확하게 밝힐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대전의 성곽』(대전시, 1993)
『대전의 산성 분포 조사』(백제문화재연구원, 2012)

논문

성주탁, 「대전 부근의 고대 성지고」(『백제연구』 5,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성주탁, 「대전 갑천 유역 성지고」(『윤무병 박사 회갑 기념 논총』, 1984)
성정용·이성준, 「대전 구성동 토성」(『백제연구』 34, 충남대 백제연구소, 2001)
주석
주2

판자와 판자 사이에 흙을 넣고 공이로 다지는 일. 또는 그 판자와 공이. 우리말샘

주3

도로포장을 할 때, 포장되기 전의 대지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서정석(공주대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