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승주 ()

선사문화
인물
문화공보부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 한국대학박물관협회 회장, 공주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신한국사』, 『백제토기도록』, 『공산성』 등을 저술하여 백제고고학 발전에 공헌한 고고학자 · 교육자.
이칭
우재(愚齋)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37년
사망 연도
1998년
본관
순흥(順興 :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
출생지
충청남도 연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문화공보부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 한국대학박물관협회 회장, 공주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신한국사』, 『백제토기도록』, 『공산성』 등을 저술하여 백제고고학 발전에 공헌한 고고학자 · 교육자.
개설

본관은 순흥(順興). 호는 우재(愚齋). 충남 연기 출생. 아버지는 안재관(安在官)이며, 어머니는 이래예(李來禮)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53년공주의 봉황중학교를 졸업하고, 1956년에는 공주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그 해에 고려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에 입학하여 1960년 3월에 졸업하였고, 그 뒤 경희대학교대학원에서 한국고고학 전공으로 문학석사와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대학을 졸업하던 1960년 9월에 공주중학교 강사를 맡았으며, 이후 1961년 9월부터 1963년 2월까지 공주 영명고등학교 교사를 지냈다. 이어서 1963년 2월부터 1968년 2월까지는 공주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 교사를 지냈으며, 그 사이에 1965년 2월부터 1966년 8월까지 공주사범대학 강사를 맡았다.

1968년 3월부터 1998년 6월까지 공주사범대학으로 자리를 옮겨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교수를 지내면서 백제유적의 조사·연구 및 제자 양성에 노력하였다. 1985년 4월부터 1991년 5월까지 문화공보부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으로 활약하였으며, 1989년 9월부터 1990년 6월까지는 한국대학박물관협회 회장을 맡기도 하였다.

1990년 3월에는 공주대학 제12대 학장이 되었으며, 이듬해 공주대학이 공주대학교로 승격됨에 따라 1991년 3월부터 1995년 2월까지 만 4년 동안 초대 총장을 역임하였다.

한편 1991년 5월부터 1998년 6월까지 문화공보부(현 문화관광부)문화재위원회 문화재위원을 맡아 우리 나라 문화유적의 발굴조사와 보존에 큰 업적을 남겼으며, 1991년 11월에서 1992년 11월까지 한국고대학회(韓國古代學會) 회장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총장을 사임한 뒤, 1995년 6월부터 충남발전연구원 초대 원장을 맡아 파견근무를 하던 중 1998년 6월 23일 과로로 순직하였다.

학문활동

해방 후 고고학이라는 용어가 생소하던 시기에 일찍부터 고고학에 관심을 기울여 우리 나라 고고학, 특히 백제고고학 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다.

부여 송국리 석관묘조사를 통하여 한강이남 지역에서는 최초로 비파형동검의 실체를 확인시켜 주었으며, 무령왕릉의 발굴조사에도 참여하는 등 지속적으로 백제고분을 조사·연구하여 해방 후 국내 학자로는 최초로 백제고분을 체계적으로 연구·정리하여 이후 백제고분 연구의 중요한 단초를 마련하였다.

뿐만 아니라 공주·부여 지역에 산재해 있던 백제사찰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와 출토지조차 확인되지 않던 각종 백제토기를 집대성하여 종류별로 특징과 변천과정을 연구함으로써 이후 백제사지 및 백제토기 연구의 중요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저술활동

저서로는 『신한국사』(1973)와 같은 개설서 이외에 『한국의 미(美)-토기(5)』(1981), 『한국의 미(美)-고분미술(22)』(1985), 『백제토기도록』(1984), 『공산성』(1982) 등 백제의 고분·성·토기 등에 관한 연구서가 있으며, 웅진동고분군·모촌리고분군·칠지리고분군 등 다수의 백제고분 발굴조사보고서가 있다.

논문 또한 「백제고분의 연구」(1975), 「백제 사지(寺址)의 연구」(1985), 「백제토기의 대외교섭」(1996) 등 백제고분과 백제사지, 토기 등에 관한 2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상훈과 추모

1985년 12월에 충청남도 문화상(학술부문)을 수상하였고, 1998년 9월 10일에는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역사와 역사교육』 3·4합집-우재안승주박사추모역사학논총(愚齋安承周博士追慕歷史學論叢)-(웅진사학회, 1999)
『선사(先史)와 고대(古代)』 -안승주교수추모특집호-(한국고대학회, 1998)
『고문화(古文化)』-안승주교수추모특집호-(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98)
집필자
이남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