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호 거사비 ( )

목차
관련 정보
양호거사비
양호거사비
조선시대사
유적
문화재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명지대학교 교정에 있는 조선후기 정유재란 당시 명나라 장수 양호에 관한 송덕비. 시도유형문화재.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명지대학교 교정에 있는 조선후기 정유재란 당시 명나라 장수 양호에 관한 송덕비.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1993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원래 이 비는 서울시 중구 서소문동 선무사(宣武祠) 자리에 있었으며, 1970년대 초 명지대학교가 서소문동에서 남가좌동으로 이전할 때 같이 옮겨왔다. 1993년 4월 3일에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학교법인 명지학원에서 관리하고 있다.

비는 방형대석(方形臺石) 위에 화강암의 비신과 이수(螭首)를 갖춘 통비이며, 이수에는 두 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서로 다투는 형상으로 정교하게 조각되어 있다. 총 높이는 248㎝, 비신의 높이는 172㎝, 폭은 67㎝, 두께는 22㎝이다.

비 전면의 상단에 ‘흠차경리조선도어사양공거사비(欽差經理朝鮮都御史楊公去思碑)’라고 세로 2행 14자가 음각되어 있다. 그 아래 우측으로부터 세로 7행 73자로 양호의 출신지·관직·업적 및 비를 세우는 뜻을 기록하였다. 이를 양공거사비 또는 비문의 끝글자를 따서 양공타루비(楊公墮淚碑)라고 전해온다.

1598년(선조 31) 임진왜란 때 공이 많았던 명나라 병부상서(兵部尙書) 형개(邢玠)의 위패를 모신 선무사를 세우면서 그 해 8월에 양호거사비를 이곳에 세웠다. 1604년(선조 37) 양호의 위패도 선무사에 같이 모셨으며, 매년 3월과 9월에 제사를 지냈다. 이에 살아있는 사람을 모셨으므로 생사당(生祠堂)이라 불렸다.

그 뒤 1764년(영조 40) 왕이 선무사에 나아가 제향을 지낸 뒤 비의 훼손을 염려해 다시 7척 높이의 새로운 비를 선무사 앞뜰에 세우고, 먼저 사현(沙峴 : 무악재)에 있던 양공거사비를 이곳에 옮겨오게 하였다.

사현에 있던 비는 1610년(광해군 2) 양호의 초상화를 중국에서 구해와 선무사에 걸면서 예조판서 이정구(李廷龜)가 글을 짓고, 한성부판윤 김상용(金尙容)이 두전(頭篆)했으며, 지돈녕부사 김현성(金玄成)이 글을 쓴 것으로 또하나의 ‘경리조선군첨도어사양공거사비’로 모화관 동쪽 언덕에 세워졌던 것이다.

그러나 이 비는 1835년(헌종 1)에 불이나 훼손되어 비문을 읽을 수가 없게 되어 이전의 비문을 모각해 다시 세웠다. 이 때 음기는 홍문관대제학 신재식(申在植)이 짓고, 호군 신위(申緯)가 썼다. 이 비는 총높이 266㎝, 비신높이 234㎝, 폭 98㎝, 두께 32.5㎝이며, 최근에 독립문사거리 근처의 공사중에 발견되어 종로구 행촌동 대신고등학교 교정에 세워져 있다.

양호의 행적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592년 임진왜란 발발 후 초기의 전쟁 상황이 평양전투와 벽제관전투, 행주대첩 등을 거치면서 화의가 진행되며 소강상태에 빠지고 왜군이 경상도 일대로 후퇴하였다. 그러다가 1597년 20만의 왜군이 재침해 경남 해안과 전라도를 거쳐 충청도로 침입해 들어왔다.

이 때 명나라의 신종(神宗)은 1597년 1월 형개를 총독으로, 양호를 도찰원우도첨어사 경리조선군무로 삼은 뒤 군사 5만의 원군을 조선으로 보냈다. 양호는 압록강을 건너 평양에 도착해 선발대로 보낸 조명(朝明) 연합군이 8월 4일 남원성전투에서 패했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다.

이에 양호는 9월 3일 서울에 입성한 뒤 남산에 올라 군령을 포고하고 선조 임금을 모시고 동작진(銅雀津)을 건너 연합군의 전투준비상태를 살펴보았다. 이어 9월 7일 직산에 나타난 왜군을 선봉에 서서 물리치고, 여세를 몰아 남원성을 탈환, 조령고개를 넘어 의성·경주에 나갔다. 이 때는 도원수 권율의 군사를 지휘하기도 하였다.

12월 22일 예하의 마귀·양원장군과 함께 반구정과 태화강의 적진을 공격해 왜장 가토[加藤靑正]를 단신으로 도산(島山)까지 도망가게 하였다. 이듬 해 1월 울산성을 수차 공격하고 장기전으로 고전하던 중 도요토미[豊神秀吉]가 사망하고 왜군이 물러나자 7년간의 전쟁이 끝났다.

이 때 양호는 그의 부하였던 군교(軍校) 정응태(丁應泰)의 무고로 파직되어 본국으로 송환되었다. 그러자 조선 정부에서는 그에게 무훈장군이라는 칭호를 준 뒤 그의 높은 공을 찬양해 잘못된 무고임을 알리자 명나라에서는 양호를 재등용해 요동도어사(遼東都御史)를 삼았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영조실록(英祖實錄)』
『서울문화재』(서울특별시, 1996)
『서울금석문대관』제2집 (서울특별시, 1992)
『서울육백년사: 문화사적편』(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8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나각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