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산허위선생거의사실대략 ()

근대사
문헌
1908년 13도창의군 군사장으로서 서울 진공작전을 주도한 허위에 관한 기록.
문헌/고서
편자
허복
판본
필사본
내용 요약

『왕산허위선생거의사실대략(旺山許蔿先生擧義事實大略)』은 1908년 13도창의군(十三道倡義軍) 군사장(軍師長)으로서 서울 진공작전을 주도한 허위에 관한 기록이다. 필사본으로 허위의 족손(族孫) 허복(許馥)이 엮은 것으로, 허경성(許敬誠)이 지녀온 것이다. 내용은 1896년(고종 33) 3월 10일에 거병하여 김천을 공격한 사실부터 시작해서 1907년(순종 원년)에 다시 의병을 일으켜 1908년(순종 2) 5월 일본군에게 잡혀 죽기까지의 사적(事績)이 약술되어 있다.

정의
1908년 13도창의군 군사장으로서 서울 진공작전을 주도한 허위에 관한 기록.
저자 및 편자

왕산(旺山) 허위주1, 허복이 편술한 것이다.

서지 사항

필사본이다.

편찬 및 간행 경위

허복이 엮은 것으로, 허경성이 지녀온 것이다. 내용은 1896년(고종 33) 3월 10일에 거병하여 김천을 공격한 사실부터 시작해서 1907년(순종 원년)에 다시 의병을 일으켜 1908년(순종 2) 5월 일본군에게 잡혀 죽기까지의 주2이 약술되어 있다.

구성과 내용

1896년 3월 10일 허위는 조동호(趙東鎬), 이기하(李起夏), 이은찬(李殷贊) 등과 같이 의병을 일으켰다. 양제안(梁濟安)으로 선봉장을 삼고 김천 장날을 이용하여 김산(金山: 지금의 경상북도 김천시) 군기고(器庫)에 보관해둔 병기를 압수하였다.

의병부대를 김산과 성주(星州: 지금의 경상북도 성주군) 사이에 매복시키는 한편, 격문을 사방에 뿌리며 군사를 집결할 즈음 대구(大邱)의 공병(公兵)이 먼저 성주의 진(陣)을 습격하고 서울과 공주의 군대가 합세해서 달려들어 이은찬, 조동호가 체포되고 주3이 혼란에 빠져버렸다. 그러나 왕산은 흩어진 군사를 수습하여 진천(鎭川)까지 진군하자, 전운경(田雲慶)이 의병을 해산하라는 임금의 주4를 전하므로 왕산은 어명을 어기지 못해서 휘하 장병들을 타일러 해산하였다.

이후 왕산은 원구단(圜丘壇) 참봉(參奉), 평리원(平理院) 재판장(裁判長), 의정부 참찬(參贊), 비서원(秘書院) 승(丞) 등을 역임하였다.

군대 해산 뒤인 1907년 가을에 의병을 다시 일으켜 김규식(金奎植), 연기우(延起羽), 권중설(權重卨), 이인영(李麟榮) 등과 같이 13도(十三道) 창의대진소(倡義大陣所)를 결성하고 군사장으로 활동하였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갑자기 총대장 이인영(李麟榮)이 부친상으로 귀향하자 13도 창의대진소의 대장이 되었다. 1908년 2월 양주를 거쳐 다시 북상하여 임진강 유역에 근거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조인환(曺仁煥), 권준(權俊), 왕회종(王會鍾), 김진묵(金溱黙), 박종환(朴宗漢), 김수민(金秀敏), 김규식, 연기우, 이은찬, 김응두(金應斗) 등을 규합하여 관동창의원수부(關東倡義元帥府)를 결성하고 유격전을 전개하였다.

그는 군율을 정하여 민폐를 방지하였으며, 주5를 발행하여 군비를 조달하였다. 나아가 주6을 발하여 납세와 미곡의 반출을 금지하고 의병의 군량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일제 침략의 협력자인 한인 순사 · 헌병보조원에게 협박장을 보내고, 통신선을 절단하여 그들의 연락 체계를 마비시켰으며, 일제 침략의 하부 기관인 관공서를 공격하였다. 그리고 각 의병부대들의 전열이 어느 정도 정비되자 ‘제2차 서울 탈환작전’을 준비하였다.

1908년 4월 21일 이강년(李康秊) 등과 함께 다시 의병을 일으키자는 통문을 전국의 의병부대에 발송하였다. 그리고 5월에는 수하의 박노천(朴魯天) 등을 서울에 파견, 통감부(統監府) 주7과 교섭하여 고종의 복위, 통감부 철거, 관청의 일인 관리 퇴송(退送), 외교권 환귀(還歸) 등 32개 조에 달하는 요구조건을 통감부에 제출하였다.

1908년 6월 11일 영평군(永平郡: 지금의 경기도 포천시) 서면(西面) 유동(杻洞) 박정연(朴政淵)의 집에 잠복하고 있던 중 유산(杻山)헌병분견소와 철원(鐵原)헌병분견소의 헌병에게 체포되었다. 6월 17일 서울 헌병대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동양평화(東洋平和)를 위해 의병을 일으켰다는 포부를 피력하였다.

또한, 두 차례에 걸친 주8 헌병사령관 아카시 겐지로[明石元二郞]에게 직접 심문을 받으면서 일본의 침략을 성토하였고, 나아가 의병을 일으킨 목적과 국권 회복의 당위성을 주장하였다. 이 심문 과정에서 아카시 겐지로는 그의 인품과 식견에 탄복하여 대단한 선비라고 칭하였다는 일설도 전한다.

1908년 7월 7일 평리원으로 넘겨졌다. 평리원에서 진행된 1차 심문에서 한국인 판사와 검사가 교대로 의병을 일으킨 연유를 물었다 이에 “나는 일인에게 주9되었으니 본국 관인은 묻지 마라.”고 하며 이들을 질책하였다. 다시 경성공소원(京城控訴院)으로 넘어 갔으나 심문받기를 거부하였다. 9월 18일 사형을 선고 받았다. 1908년 10월 21일 오전 10시 서대문형무소에서 형이 집행되어 사망하였다. 그의 나이 54세였다.

의의 및 평가

서대문형무소에서 사망한 뒤, 그의 시신을 제자 박상진(朴尙鎭)주10하여 지천(芝川) 방암산(肪巖山)에 임시로 장사지냈다. 당시 수많은 유생들이 주11주12을 지어 추앙하였다. 그 중 안중근(安重根) 의사는 ‘고관 중의 충신(忠臣)’으로 그를 평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오영섭, 『고종황제와 한말 의병』(선인, 2007)
박민영, 『대한제국기 의병연구』(한울아카데미, 1998)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2: 의병항쟁사자료집』(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1)
주석
주1

성이 같은 사람들 가운데 유복친 안에 들지 않는 손자뻘이 되는 사람    우리말샘

주2

일의 실적이나 공적    우리말샘

주3

의병 부대를 배치한 것    우리말샘

주4

임금이 특정인에게 훈계하거나 알릴 내용을 적은 글이나 문서    우리말샘

주5

전지(戰地)나 점령지에서 군대에 필요한 물품을 구입할 때 사용하는 긴급 통화(通貨)    우리말샘

주6

소식을 전하여 알리는 글    우리말샘

주7

파견된 사람    우리말샘

주8

조선 주둔 일본 군대

주9

남에게 붙잡힘.    우리말샘

주10

객지에서 죽은 사람을 그가 살던 곳이나 그의 고향으로 옮겨서 장사를 지냄.    우리말샘

주11

죽은 이를 슬퍼하여 지은 글. 또는 그 글을 비단이나 종이에 적어 기(旗)처럼 만든 것. 주검을 산소로 옮길 때에 상여 뒤에 들고 따라간다.    우리말샘

주12

죽은 사람에 대하여 애도의 뜻을 나타낸 글. 흔히 제물을 올리고 축문처럼 읽는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헌주(연세대 HK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