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자운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집현전부수찬, 예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지망(之望)
낙한재(樂閑齋)
시호
문헌(文憲)
인물/전통 인물
출생 연도
1416년(태종 16)
사망 연도
1478년(성종 9)
본관
무송(茂松)
정의
조선 전기에, 집현전부수찬, 예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무송(茂松). 자는 지망(之望), 호는 낙한재(樂閑齋). 윤소종(尹紹宗)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집현전 학사 윤회(尹淮)이다. 아버지는 윤경연(尹景淵)이며, 어머니는 이백인(李伯仁)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38년(세종 20) 진사가 되고, 1444년(세종 26)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예문관 검열을 시작으로 집현전 부수찬·이조좌랑·사간원 좌헌납, 응교 등의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집현전 부수찬으로 있을 때, 수사관(修史官)이 되어 정인지(鄭麟趾) 등과 함께 『고려사』 편찬에 참여하였다.

그 뒤 1453년(단종 1) 수양대군(首陽大君)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정권과 병권을 장악하자, 요속(僚屬)으로 활약하였다. 수양대군이 즉위하자 추충좌익공신(推忠佐翼功臣)이 되어 대호군으로서 지사간원사(知司諫院事)를 겸하고, 이어 승정원 동부승지·도승지에 올랐다가 1460년(세조 6) 어머니 상으로 일시 관직에서 물러났다.

세조가 여진족의 모련위(毛憐衛)를 정벌하기 위해 장군을 구할 때, 단연 윤자운이 뽑혀 기복(起復)되어 이조참판이 되었고 무송군(茂松君)에 봉해져 군사를 지휘하게 되었다. 원정에서 돌아와 인수부윤(仁壽府尹)이 되었는데, 3년상을 치르기를 원했으나 허락을 받지 못하였다.

그 뒤 1462년(세조 8) 병조판서, 1465년(세조 11) 의정부 우참찬에 올랐다. 그러나 당시 매서(妹壻)인 신숙주(申叔舟)가 영의정이었으므로, 윤자운를 의정부에 임명하는 것은 상피관계(相避關係)에 저촉된다고 반대하는 사람이 많았다. 하지만 세조는 의정부에는 마땅한 사람이 아니면 임명할 수 없다 하여 1466년 의정부 좌참찬으로 승진시켰고, 이듬해 다시 의정부 우찬성으로 승진시켰다.

이때 마침 함경도에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자, 함길도체찰사(咸吉道體察使)에 임명해 난을 진압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시애가 이미 관찰사·절도사와 여러 진장(鎭將)을 죽이고, 또 윤자운마저 죽이려고 칼을 빼들고 둘러싸 7일이나 지키고 있어, 하는 수 없이 적(賊)이 정부를 속이는 위조 문서에 서명하고 살아 돌아왔다. 그러나 세조는 윤자운을 위로하였다. 그 뒤 1469년(예종 1)에 우의정으로 승진되었다가 곧 좌의정이 되었고, 이듬해 영의정으로 다시 승진되었다.

성종이 즉위하자, 좌리공신(佐理功臣)이 되어 무송부원군 겸 예조판서(茂松府院君兼禮曹判書)에 봉해졌다. 그리고 잠시 관직에서 물러났으나, 1476년(성종 7) 다시 우의정이 되었다.

사람됨이 단아(端雅)하고 치밀해 일생 동안 관부(官府)의 탄핵을 한번도 받은 적이 없었다. 그리고 국가에 큰 일이 있을 때마다 여러 번 순찰사로 나가 일을 처리했는데, 이것은 모두 좌리공신으로서 권세를 누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한명회(韓明澮)·신숙주·구치관(具致寬) 등과 함께 예종이 죽은 뒤에는 원상(院相)으로서 국정을 좌우하였다.

그러나 윤자운에 대한 사신(史臣)의 평가는 사뭇 다르다. 성품이 편협하고 아무런 재능이 없으면서도 의정부의 고관이 되어 별다른 정책을 건의한 것이 없다고 했다. 또한 이시애의 난 때에는 협박을 받고 적이 조정을 속이려는 문서에 서명하고, 적을 대할 때마다 대인(大人)이라 칭했다고 혹평하였다. 뿐만 아니라 조석으로 어머니가 사는 집 앞을 지나다니면서도 찾아보지 않는 일이 많아서 사람들이 이 노파는 자식이 없다고 할 정도였다 한다.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문종실록(文宗實錄)』
『단종실록(端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예종실록(睿宗實錄)』
『성종실록(成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모재집(慕齋集)』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
『대동기문(大東奇聞)』
집필자
이성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