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항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평안도 병마절도사, 삼도수군통제사 등을 지낸 무신.
이칭
군망(君望)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78년(숙종 4)
사망 연도
1731년(영조 7)
본관
전주(全州)
주요 작품
이재항서첩(李載恒書帖)
주요 관직
삼도수군통제사|평안도 병마절도사
내용 요약

이재항은 조선 후기 평안도 병마절도사, 삼도수군통제사 등을 역임한 무신이다. 종실 집안이며, 당대 집권자인 이이명·김진규와 밀접한 관계이다. 관직으로는 주로 무관직과 외직을 역임하면서 순무영 개편, 통영곡 운영 문제 등에 관심을 가졌다. 충효를 실천하였고, 글씨로 이름을 떨쳤다.

정의
조선 후기 평안도 병마절도사, 삼도수군통제사 등을 지낸 무신.
가계 및 인적 사항

이재항(李載恒)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군망(君望)이다.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후손으로, 5대조는 선조(宣祖)의 큰 형인 의헌공(懿獻公) 하원군(河原君) 이정(李鋥), 고조할아버지는 당은군(唐恩군君) 이인령(李引齡), 증조할아버지는 밀산군(密山君) 정혜공(靖惠公) 이찬(李澯), 할아버지는 승정원 좌승지 겸 경연 참찬관증직된 이경한(李經漢)이다. 아버지 이홍서(李弘遾)는 1689년(숙종 15) 인현왕후(仁顯王后)가 폐출되자 평생 벼슬을 하지 않았고 대사헌에 증직되었다. 어머니는 의령남씨(宜寧南氏)는 충의위(忠義衛) 남득로(南得老)의 딸이다. 주1 청주한씨(淸州韓氏)는 통덕랑(通德郞) 한성시(韓聖蓍)의 딸이고, 후처(後妻)는 광주정씨(光州鄭氏)는 정의창(鄭儀昌)의 딸이다.

주요 활동

1706년(숙종 32) 정시(庭試) 무과에 급제하고 선전관에 임명된 후, 훈련주부, 좌포도청 종사관, 도총도사, 훈련정, 삼수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경종 즉위 초기에 주2 사신의 군관으로 중국 베이징에 다녀왔다. 이후 창성부사, 여주목사를 거쳐 경종 3년에는 경상 좌수사에 임명되었는데, 이홍술(李弘述)의 유배지에 오간 것이 부적절한 처신이라고 하여 파면되었다.

1724년(경종 4)에 여산부사로 나갔고, 평안 감영 중군으로 복무하였는데, 오명항(吳命恒)과도 함께 순무영(巡撫營)의 군제를 개편하였다. 이때 이이명(李頤命)의 일파라는 이유로 주3되었다.

1724년(영조 즉위년)에 겸사복장, 남양부사, 경상우병사, 1725년(영조 1)에는 금군별장, 통제사에 임명되었다. 그는 통영곡의 운영 및 보존 방안을 강구하기도 하였지만, 반면에 통제사의 업무 수행에 대해 수차례 대간의 탄핵을 받았다. 통제영의 군무(軍務)를 5촌 서얼 친족인 주4 이홍운(李弘運)에게 일임하면서 폐단이 발생하였는데, 주5을 적간하면서 거둔 주6을 횡령한 일, 통영곡을 내다 팔아서 주7을 제때에 할 수 없었던 일, 청어(靑魚) 바칠 때 백성들을 다그친 일, 난파선의 인명 구조자를 이홍운으로 거짓 보고하였다는 등의 내용이었다.

1726년(영조 2) 주8과 병환으로 사직하면서 아들과 함께 관직에서 물러났는데, 대간에서는 이를 당습(黨習)을 따르는 행동이라고 비판하였다. 1729년(영조 5) 6월 14일 다시 황해도 병마사와 평안도 병마사에 임명되었다. 이때 대간에서는 성 보수 비용 마련을 위해 설치하였던 주9의 회계 장부를 이자를 받기 어렵다고 관련 불태워 버리고 상인들의 빚을 탕감해 주었다고 비판하였다. 1731년(영조 7) 54세의 나이에 주10로 사망하였다.

이재항은 사람의 도리로 평생 충과 효를 강조하였다. ‘애군여애부우국여우가(愛君如愛父憂國如憂家)’ 10자를 벽에 걸어놓았는데, 이로 인해 ‘나라의 그릇〔國器〕’이라는 칭찬을 받기도 하였다. 이이명의 ‘ 비장(裨將)’이라고 평가되며, 권상유(權尙遊), 김진규(金鎭奎)와 친하게 지냈다.

학문과 저술

글씨에 능하여 이름을 떨쳤으며, 작품으로 「이재항서첩(李載恒書帖)」이 전해진다.

참고문헌

원전

『경종실록(景宗實錄)』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숙종실록(肅宗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영조실록(英祖實錄)』.
『지수재지집(知守齋集)』
주석
주1

‘아내’를 첩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사신이 중국의 베이징에 가던 일. 또는 그 일행.    우리말샘

주3

죄를 지은 자의 벼슬과 품계를 빼앗고 벼슬아치의 명부에서 그 이름을 지우던 일.    우리말샘

주4

조선 시대에, 감사(監司)ㆍ유수(留守)ㆍ병사(兵使)ㆍ수사(水使)ㆍ견외 사신(使臣)을 따라다니며 일을 돕던 무관 벼슬.    우리말샘

주5

소나무가 많이 들어서 있는 땅.    우리말샘

주6

죄를 면하기 위하여 바치는 돈.    우리말샘

주7

흉년을 당하여 가난한 백성을 도와줌.    우리말샘

주8

정치계의 상황.    우리말샘

주9

조선 시대에, 평안도 감영에서 관리하던 창고 가운데 하나. 중국과 조선의 사신이 왕래할 때 필요한 부마의 경비와 물자를 저장하였다.    우리말샘

주10

비증(痹症)의 하나. 팔다리와 몸이 쑤시고 무거우며 마비가 오는데 그 부위가 일정하지 않고 수시로 이동한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