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호집 ()

목차
관련 정보
임호집
임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박수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박수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활자본. 1812년(순조 12) 현손 상순(尙淳)·문순(文淳)과 후손 재기(栽基)·재후(栽厚)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선(金銑)과 강화석(姜華錫)의 서문, 권말에 상순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앞에 연보와 행장초(行狀草)가 있고, 권1∼4에 시 446수, 권5에 주(奏) 1편, 표(表) 3편, 전(箋) 6편, 제문 4편, 잡저로 우륵당중건권유문(于勒堂重建勸諭文) 1편, 청계시집전후서(淸溪詩集傳後敍), 자경편서(自警篇敍) 1편, 대우책(對友責) 1편, 권6에 서(序) 4편, 열부파평윤씨정려비명(烈婦坡平尹氏旌閭碑銘) 1편, 기(記) 9편, 서(書) 7편, 부록으로 책문 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각체별로 나누어 수록되어 있는데, 그 중 칠언율시가 289수로 가장 많다. 그는 시작에 있어서 수식에 힘을 기울이지 않고, 담백하며 조촐한 시어를 즐겨 썼으며, 신선하고 선명한 비유로 성당(盛唐)의 시풍에 가깝다는 평을 받았다. 그러나 주제나 소재에 있어서 당시 사대부로서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점이 있다.

「자경편서」는 허후(許厚)의 「자경편」에 쓴 일종의 발문으로, 후학들의 기준이 될 만하다고 극구 칭찬하였다. 자경의 의미를 성(誠)과 경(敬)으로 요약하여, 그 기능이 양덕성궁(養德省躬)을 돕는 데 있고, 결국 그 근본 목적은 궁리진성(窮理盡性)에 있다고 하였다.

서(序)에는 자신의 저서 『절위여편(絶韋餘編)』·『중용석의(中庸釋義)』의 자서와 『남화주해(南華註解)』 가운데 제일 중요한 두 편을 뽑아 서문을 붙인 「장자소요유제물론이편주해서(莊子逍遙遊齊物論二篇註解序)」이 있다.

「돈곡집서(遯谷集序)」는 곽일(郭逸)의 문집 서문이다. 편지에는 시사에 대해 송시열(宋時烈)과 곽일에게 보낸 것들이 있다. 그밖에도 『중용연의(中庸演義)』·『진사통고(震史通考)』 등의 저서가 있었다 하나 모두 소실되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