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문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지방 군현에서 열렸던 정기 시장.
이칭
이칭
장시(場市), 향시(鄕市), 허시(墟市)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조선시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장문(場門)은 조선시대에 지방 군현에서 열렸던 정기 시장이다. 초기에는 한 달에 2번 열리다가, 17세기 이후 전국적으로 장시가 발달하면서 주로 5일마다 개설되었다. 15세기 말 전라도에 극심한 흉년으로 기민이 늘자 이를 구제하기 위한 방편으로 장시를 처음 허가하여 주었는데, 이를 계기로 장시가 조금씩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조선 후기 들어 대동법의 시행과 화폐 유통이 활발해지면서 조선 말기까지 대략 1,000여 개의 장시가 형성되었다. 이에 장시는 향촌의 정보 전달 기능과 놀이 문화를 형성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정의
조선시대, 지방 군현에서 열렸던 정기 시장.
내용

조선시대에 지방 군현에 형성된 시장을 말한다. 장시(場市), 향시(鄕市), 허시(墟市)로도 불렀으며 주로 5일마다 열렸다. 장문이 열리는 장소는 지방 관아 인근과 주요 교통로 등이었다. 1473년(성종 4)에 흉년이 심해지자 전라도민들이 기근을 타개하고자 스스로 장문을 열어 물화를 교역한다는 내용이 조정에 보고되면서, 조정에 찬반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정부는 기민 구제책에서 장시를 처음 허가하여 주었는데, 이를 계기로 장시가 조금씩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조선 후기 들어 대동법(大同法)이 전국에 시행되고, 화폐 유통이 활발해지면서 조선 말기까지 대략 1,000여 개의 장문이 형성되었다. 이에 장문은 향촌의 정보 전달 기능과 놀이 문화를 형성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변천사항

대동법이 실시되면서 17세기 이후로 장문은 양적으로 확대되었다. 대동법 실시로 지방 군현에서는 공물 대신 쌀과 포목을 중앙에 상납하였는데 쌀과 포목 생산이 부족한 경우에는 장시를 통하여 이를 확보해야만 하였다. 또한 공물주인(貢物主人)과 사상(私商) 역시 특정 군현에서 집중적으로 생산되는 물품을 해당 군현에서 열리는 장문에서 확보하였다. 그 결과 장문에서의 거래량은 계속해서 증가하였고 개설되는 장문의 수 역시 확대되었다.

17세기를 거치면서 늘어난 장문은 18세기에 이르러 시장권을 형성하여 나갔다.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에 나타난 18세기 후반 전국 장문은 5일마다 열리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4~5개의 5일장이 하나의 지역을 중심으로 근처에 분포하면서 해당 지역 내에서는 장문이 항시적으로 열리게 되었다.

한편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전국 장문의 수는 소폭 감소한다. 18세기 후반 자료인 『동국문헌비고』에 나타난 전국 장문의 수는 총 1,062개인 반면 19세기 초반 자료인 『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 나타난 전국 장시의 수는 총 1,053개이다. 도별로 비교하면 경기, 전라도, 경상도, 강원도에서 장문의 수가 감소하였고 충청도,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에서는 장문의 수가 증가하였다.

장문의 수가 19세기에 변화를 보인 원인은 인근에 분포한 여러 개의 장문이 하나의 대장(大場)으로 통폐합되었기 때문이었다. 즉 17세기 동안 양적 증가를 보였던 장문은 18세기 동안 질적 향상을 경험하여 19세기에 대규모 장문으로 성장하였던 것이다.

의의 및 평가

장문의 발달은 사회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장문의 주요 기능이 상품 유통에 있었지만 이 밖에도 주요 정보를 전달하고 놀이 문화를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지방 군현에 파견된 암행어사는 해당 군현의 정보를 얻기 위하여 장문을 순찰하였으며, 지방의 민들은 억울한 사연을 호소하기 위하여 장문에 괘서를 걸곤 하였다.

장문에서 성행한 오락으로는 투전과 골패가 대표적이었다. 투전과 골패는 잡기(雜技)로도 통칭되었는데 노름의 일종으로까지 번져 지방 수령들이 단속에 나서는 일도 있었다. 또한 장문에서는 사당패들이 공연을 선보이기도 하였다.

이처럼 장문은 경제적 기능뿐 아니라 각종 사회적 기능도 수행하였다. 설립 초반에 물가 상승 등을 이유로 장문의 개설을 막았던 조정에서는 오히려 장문을 민정을 살피는 통로로 사용하였으며, 지방 군현에서는 장세(場稅)를 징수하여 부족한 재정을 보충하는 수단으로 이용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대길, 『조선후기 장시연구』(국학자료원, 1997)

논문

조영준, 「조선후기 시장과 상업의 장기 변동에 대한 재검토: 18-19세기 장시 통계를 중심으로」(『경제사학』 76, 경제사학회, 2021)
김태현, 「조선후기 장세 수취의 확산과 정착」(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고석규, 「조선 후기 장시 변동의 양상: 전라남도의 장시를 중심으로」(『한국문화』 21,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998)
이경식, 「16세기 장시의 성립과 그 기반」(『한국사연구』 57, 한국사연구회, 1987)
한상권, 「18세기말~19세기 초의 장시발달에 대한 기초연구: 경상도지방을 중심으로」(『한국사론』 7,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8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