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보 ()

전보장정
전보장정
통신
개념
전류, 전파를 사용해 약속된 기호를 통해 정보를 보내는 통신체계.
내용 요약

전보는 전류, 전파를 사용해 약속된 기호를 통해 정보를 보내는 통신체계이다. 전기 기기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우편과 다르며, 음성이 아닌 기록된 문자 등을 전달한다는 점에서 전화와 다르다. 특정 장소에서 전신기를 전문으로 다루는 사람에게 정보전달을 의뢰해 이용한다. 전화와 인터넷이 발달하기 전까지 전보는 급한 소식을 보내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1890년 설립된 조선전보총국은 전신 관련 규정과 법규를 제정하고 인력을 양성하는 등 근대통신체계를 수립했다. 전화가 보급화되기 이전까지 전보는 급한 소식을 보내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1997년 2월 전보와 관련된 시행법령은 폐지되었다.

키워드
정의
전류, 전파를 사용해 약속된 기호를 통해 정보를 보내는 통신체계.
개설

전보는 전신의 한 형태로, 전신은 전보뿐만 아니라 전용 전신 · 가입 전신 · 사진 전송 전신 · 인쇄 전신 등을 포함한다. 전기 기기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우편과 다르며, 음성이 아닌 기록된 문자 등을 전달한다는 점에서 전화와 다르다. 전보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는 통신수단으로 전용전신 · 가입전신(telex) · 데이터통신 등이 있으나, 이것들은 이용자가 독자적으로 설치한 기계를 활용하며, 전보는 특정 장소에서 전신기를 전문으로 다루는 사람에게 정보 전달을 의뢰해 이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전신이 정보전달의 중심이 된 것은 글자를 점( · )과 선(―) 2종류의 기호 조합으로 바꾸어 보내는 모스(Morse, S. F. B)의 통신 방식의 유효성을 인정받은 1840년대 이후부터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국내전보, 국제전보 모두 KT에서 취급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우리나라에 전신이 처음 설치된 때는 부산-나가사키 사이 해저선이 가설된 1883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이 해저전신선은 덴마크의 대북부전신회사 소유였다. 1885년 처음으로 육지에 가설된 서로전신선( 인천- 서울- 평양- 의주)은 가설 및 운영 경비가 조선정부가 조달했음에도 불구하고, 갑신정변 이후 조선을 강하게 압박했던 주1에 의해 주도되어 엄밀한 의미로 조선정부의 통신시설이라고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조선 정부는 전신운영권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서로전신선 가설 2년 후인 1887년 서울과 부산을 잇는 남로전신선을, 1890년 서울과 원산을 잇는 북로전신선을 독자적으로 가설하고, 관리 운영을 위한 조선전보총국을 창설했다. 조선전보총국은 전신 관련 규정과 법규를 제정하고 인력 양성을 도모하는 등 근대통신체계를 수립했다. 1884년 김학우(金鶴羽)가 만든 국문자모호마타법(國文字母號碼打法)의 사용은 남로전신선을 운영하면서부터였다.

1895년 조선 정부가 일본을 압박해 환수받은 전신선을 바탕으로 대한제국은 전신사업을 확장했다. 대한제국 정부는 전통적으로 통신을 담당하던 주2봉수제를 폐지하고 전신사업을 발전시키고자 노력했다. 1900년 통신원을 창설하는 한편 전문기술 인력 양성, 전신망 가설에도 힘을 쏟았다. 1903년에 이르면 전신을 관리 운영하는 통신원 산하의 전보사는 주요 행정구역과 개항장을 연결하기에 이르렀다. 전신선이 확장되자 전신 사업은 경영상 흑자를 기록하는 등 발전을 거듭했다.

1904년 러일전쟁으로 통신원이 계획한 확장을 이루지 못했고, 1905년 일본의 강압에 의한 한일통신협약 체결로 대한제국의 모든 통신설비를 일본에게 침탈당했다. 대한제국은 중앙과 지방을 연결하는 소통 통로를 상실했고, 일본은 식민지 건설과 통치 및 대륙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 일제는 전신선의 확대, 증설보다는 군대 및 경찰용 통신선 확보나 기존 전신선의 분할 사용 등에 치중했다.

1945년 해방한국전쟁 이후 전신망 재구축을 시도했지만, 기술인력과 자재의 부족으로 전보 사용은 제한받았다. 이런 사정으로 당시 긴급한 정보들은 무선전신으로 처리하였다. 전보의 본격적인 정비와 성장은 1960년 이후 이루어졌다.

20세기 말 인터넷과 휴대전화가 활발하게 사용되기 이전, 전보는 급한 소식을 보내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하지만 각종 전기통신수단이 발달하고 확산됨에 따라 1997년 2월 전보와 관련된 시행법령이 폐지되었다. 한국전기통신공사법에 의해 설립된 KT에서 전보 관련 영업을 하고 있지만, 정보의 신속한 전달이라는 본래의 목적은 상실되었다.

현황

현재는 긴급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전보를 이용하는 일은 급격히 줄어들었다. 대신 조문, 위로, 축하와 같이 특별한 의미나 정치, 외교 등 공적인 업무에 이용되고 있다. KT 국제전보 서비스는 2018년 4월 8일 중단되었다.

참고문헌

「고종 시대 근대통신망 구축 사업」(김연희, 서울대 신문방송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
「서울신문」(2011. 8. 28)
주석
주1

중국의 마지막 왕조(1616~1912). 여진족의 누르하치가 여러 부족을 통일하여 후금국을 세우고, 그 아들 태종이 국호를 이것으로 고쳤으나 신해혁명으로 멸망하였다.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역로(驛路)에 세워 국가가 경영하던 여관의 하나. 역제(驛制)와 같이 각 도에 통하는 길 옆에 세우는 것과, 인가가 드문 곳에 행려(行旅)의 편의를 위하여 세운 것 두 가지가 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