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약재학음집 ()

목차
관련 정보
척약재학음집
척약재학음집
한문학
문헌
고려후기 문신 김구용의 시 「기해년홍적」 · 「감회」 · 「무창」등을 수록하여 1401년에 간행한 시집.
목차
정의
고려후기 문신 김구용의 시 「기해년홍적」 · 「감회」 · 「무창」등을 수록하여 1401년에 간행한 시집.
내용

상·하 2권. 목활자본. 척약재는 저자의 호이다. 초간본은 그의 아들 명리(明理)가 편찬하고 간행하였다. 『척약재학음집』은 책머리에 하륜(河崙)·정도전(鄭道傳)의 서문이 있다.

편자인 명리의 「선군척약재세계행사요략(先君惕若齋世系行事要略)」, 이색(李穡)의 「제척약재시음후(題惕若齋詩吟後)」 등이 실려 있다. 『척약재학음집』의 하륜의 서문은 1399년(정종 1)에 쓰인 것이다. 명리의 「행사요략」은 1400년에 쓰인 것이다. 따라서 간행연대는 대체로 1401년(태종 1)경으로 추측된다.

『척약재유고외집(惕若齋遺稿外集)』이 붙어 있다. 이 시집은 그 뒤에 17대손 상원(相元)에 의하여 1884년(고종 21)경에 중간이 되었다. 허전(許傳)의 발문이 있고 정환요(鄭煥堯)와 김상원의 서문이 붙어 있다. 『학음집』은 모두 시로서 420여 수나 된다.

김구용의 순탄하지 못한 환로(宦路 : 벼슬길)를 말해주듯이 많은 방면에 관심을 쏟고 있다. 많은 작품 가운데에서 『동문선』에는 오언율시로 「기해년홍적(己亥年紅賊)」 외 3편, 칠언율시로 「둔촌기시후편차운록정(遁村寄詩累篇次韻錄呈)」 외 1편, 칠언절구로 「무창(武昌)」 외 3편을 수록하였다.

조선 후기에 신위(申緯)는 「동인논시절구(東人論詩絶句) 35수」에서 「감회(感懷)」·「무창(武昌)」의 시구를 이용하여 김구용의 시세계를 평하고 있다. 이밖에도 교유시로 송별(送別)의 여정(旅情)을 읊은 「기백옥(寄伯玉)」·「송염사배좌랑귀경(送廉使裵佐郞歸京)」이 있다.

그리고 선승과 교유하며 지은 「송백정상인(送栢庭上人)」 및 술회시로서 자연친화와 자연에의 귀의를 노래한 「야좌(夜坐)」·「야사(野寺)」 등의 작품이 뛰어나다. 『척약재학음집』은 서울대학교 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간행한 『고려명현집(高麗明賢集)』 4집과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에서 간행한 『한국문집총간』 6집에 영인되어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동문선(東文選)』
『척약재(惕若齋) 김구용(金九容)의 문학세계(文學世界)』(성범중, 울산대학교출판부, 1997)
「김구용(金九容)의 한시문학(漢詩文學)」(임종욱, 『고려시대문학의 연구』, 태학사, 1998)
「김구용(金九容) 시(詩)의 현실인식(現實認識)과 풍격(風格)」(김진경, 『한국한시연구』 5, 한국한시학회, 태학사, 1997)
「척약재(惕若齋) 김구용(金九容)의 생애(生涯)와 시(詩)」(유성준, 『한국한문학연구』 5집, 1981)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최근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