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해주(海州). 최충(崔冲)의 후손이다.
1231년(고종 18) 자주부사(慈州副使)로서 관민을 이끌고 몽고군에 포위된 성을 고수하여 항복하지 않았다.
그 뒤 화의를 맺게 되자 조정에서는 몽고원수 살리타[撤禮塔]의 힐책을 받아 내시낭중(內侍郎中) 송국첨(宋國瞻)을 보내어 항복을 설유하였으나 듣지 않았다. 이어 삼군장수가 항복하게 되자 살리타는 회안공 왕정(淮安公 王侹)에게 자주(慈州)의 항복을 독촉하였다.
이에 왕정은 후군진주(後軍陳主) 대집성(大集成)과 몽고관리를 보내어 조정과 삼군이 항복한 사실을 알리고 속히 항복하라 하였으나 조지(朝旨)가 이르지 않았다는 이유로 거절하였다. 몽고관리가 대집성으로 하여금 성 안에 들어가 권유하게 하였으나 여러 차례 거부하였다.
이에 처형하라는 몽고관리들의 압력으로 서경에 투옥되자 왕이 재추(宰樞)에게 물으니 모두 감형하기를 청하였으나, 대집성이 최우(崔瑀)를 움직여 처형하게 하였다. 재추들이 더 이상 고집하지 못하였으나 유승단(兪升旦)이 홀로 반대하였다.
최우가 거듭 내시 이백전(李白全)을 보내어 처형하려고 하였을 때도 사색(辭色)은 태연하였다. 이를 본 몽고 관리는 비록 최춘명이 몽고에는 명을 거역하였지만 고려에는 충신이니 살려주라는 청을 하여 석방되었다. 뒤에 논공행상에서 1등공신에 올라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에 발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