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도어사재거사목 ()

목차
관련 정보
팔도어사재거사목
팔도어사재거사목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시대 암행어사에게 지급되는 염문규찰의 직무수행 사항이 8도별로 게재된 규정집. 재거사목.
목차
정의
조선시대 암행어사에게 지급되는 염문규찰의 직무수행 사항이 8도별로 게재된 규정집. 재거사목.
내용

1책 80장. 활자본.

책의 크기는 가로 23㎝, 세로 36㎝이다. 사목은 절목(節目)이라고도 불린다. 재거 사목은 봉명사신(奉命使臣 : 왕의 특명으로 지방에 파견되는 사신)이 휴대해야 할 직무 수행 사항이 적혀 있는 문서를 말한다.

봉명사신의 사목의 예를 들어보면, 1413년(태종 13) 8월 무오(戊午)의 <분견경차관사목 分遣敬差官事目>, 1462년(세조 8) 4월 임오일(任午日)의 분순어사(分巡御史, 分臺御史로도 표현함.)의 재거사목, 1468년 4월 계축일(癸丑日)의 분견행대(分遣行臺)의 사목, 1453년(단종 1) 정월 정축일(丁丑日)의 문민질고별감(問民疾告別監)의 재거사목, 1489년(성종 20) 11월 병자일(丙子日)의 전한 성세명(成世明), 응교 민사건(閔師騫) 등 8인을 각 도에 분견하면서 내린 재거사목 등의 예가 보인다.

중종 이후 역대 왕이 암행어사를 많이 파견하고 있으나 사목이나 절목을 지급한 기사는 보이지 않는다. 암행어사 사목의 예가 처음으로 나타나는 것은 ≪승정원일기≫ 1681년(숙종 7) 정월 12일조에 “단금번수의지행(但今番繡衣之行)은 특별염문(特別廉問)의 조건만이 아니고, 또 염찰할 일이 있으니 삼공(三公)에게 물어 강정절목(講定節目)을 만들어 즉시 입계(入啓)하라.”라고 기술하고 있다.

≪증보문헌비고 增補文獻備考≫ 직관(職官) 어사항(御史項)의 숙종 7년조에 ‘암행어사비국예수절목외가정절목 暗行御史備局例授節目外加定節目’이라고 하고, 가정절목 15개 조목을 게재하고 있다.

위 두 인용문을 종합해 보면, 암행어사에게는 특별염문의 예수절목(封書로 발전) 외에 일반염찰 사항인 가정절목을 비국에서 만들어 지급하는 예가 숙종대부터 생긴 것으로 보인다.

≪비변사등록 備邊司謄錄≫의 영조 11년(1735) 정월 18일조를 보면 ‘어사염문조건(御史廉問條件)’ 19개 조목을 제시하고 있다. 이 조건 중에는 추생외(抽栍外 : 암행어사가 파견되는 특정 군현이외 지역)의 소문(所聞) 사항, 서북수령·변장(西北守令邊將) 사항, 제궁가(諸宮家) 사항, 각영문(各營門) 사항, 호남감·수영(湖南監水營) 사항, 평안도 관계 사항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볼 때 어사염문조건은 추생군현(抽栍郡縣)만을 상대로 한 염문규찰 조건뿐만 아니라 팔도암행어사 전원에게 필요한 종합적인 실찰 내지 직무수행 사항을 준비한 사목임을 알 수 있다.

암행어사에게는 추생군현에 관한 특별 임무의 수행 사항이 기입되는 ‘봉서(封書)’와 각 도 공통의 염찰 사항과 각 도 특유의 고질적인 폐정사항(弊政事項) 등을 모두 기입한 ‘사목’(절목)의 두 가지가 지급되는 예가 숙종대부터 시작된 듯하다. 이 사목을 ‘어사염문조건’이라고도 하였으며, 비변사에서 만들었다.

영조·정조대를 거쳐, 대를 거듭하면서 더욱 증보되고 더욱 비대해져서 과거의 ‘어사염문조건’이 책자로 간행하기에까지 이른 것이다.

≪정조실록≫에 의하면 비변사에서 암행어사에게 지급하기 위한 ≪제도어사재거사목 諸道御史齎去事目≫을 마련, 이를 편찬해 왕에게 올리고 있다. 여기에는 전국 팔도의 염찰 사항이 도별로 빠짐없이 모아저 있다.

그 뒤 정조는 비국으로 하여금 염찰 사항을 더 증보하게 하고 한문체로 된 ≪제도어사재거사목≫을 이두체(吏讀體)로 바꾸고 ≪팔도어사재거사목 八道御史齎去事目≫으로 이름을 바꾸어 간행, 반포하였다.

≪팔도어사재거사목≫은 전국 각 도별의 폐정 사항을 모아서 엮은 책자로서 폐정 사항의 집대성이다. 암행어사에게 지급해 추생군현 뿐만 아니라 도내 사정도 전부 조사시켜 별단(別單)으로 폐정 상황과 대책을 작성해 제출하도록 한 것이다.

목적은 각 도 어사의 별단을 모아서 전국적으로 폐정 상황을 파악하고 행정적 대책을 강구하는 데 있다. ≪팔도어사재거사목≫의 제작 연대를 보면 1793년(정조 17) 2월 을유일(乙酉日)에 포상을 잘못한 암행어사는 파직할 것이라는 교서를 내리고, 취지를 수의사목(繡衣事目)에 게재할 것을 명하고 있다.

어사처벌규정은 ≪제도어사재거사목≫에는 없고 ≪팔도어사재거사목≫에 게재되고 있다. 이로 보아, 사목은 1793년 2월 이후에 편찬된 것이 분명하다.

한편 ≪비변사등록≫ 정조 17년 5월 27일조의 수의(繡衣)에 관한 기사에 ‘비국인본사목(備局印本事目)’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인본사목은 ≪팔도어사재거사목≫ 외에는 없기 때문에 1793년 3월에서 5월 사이에 인반된 것으로 여겨진다. 규장각·장서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한국법제사연구』(전봉덕, 서울대학교출판부, 1969)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전봉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