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책. 필사본. 홍현주의 시문에 부인인 숙선옹주(淑善翁主)가 쓴 글과 기타 관련된 글을 묶은 것이다. 각 책의 크기와 모양이 다르다.
『홍현주시문고』 제1∼4책은 『해거재시집(海居齋詩集)』, 제5∼8책은 『해거재시초(海居齋詩鈔)』, 제9책은 『해거재시초이집(海居齋詩鈔二集)』, 제10책은 『해거재미정고(海居齋未定稿)』, 제11책은 『음시거사미정고(吟詩居士未定稿)』이다.
『홍현주시문고』 제12책은 『해거수발해미정고(海居溲渤海未定稿)』로, 「세시척이부(歲時摭異賦)」 · 「세고선집인역고완삼열집계성상연천항해양선생전(世藁先集印役告完三悅集繼成上淵泉沆瀣兩先生牋)」 · 「예약발(禮約跋)」 · 「제유모문(祭乳母文)」 · 「제중씨항해선생문(祭仲氏沆瀣先生文)」 ·
「제백씨연천선생문(祭伯氏淵泉先生文)」 · 「남계박공행장(藍溪朴公行狀)」 · 「송두신문(送痘神文)」 · 「제가아문(祭家兒文)」 · 「제면봉백씨문(祭緬奉伯氏文)」 · 「제면봉백수문(祭緬奉伯嫂文)」 · 「제면봉선고문(祭緬奉先考文)」 · 「제면봉선비문(祭緬奉先妣文)」 · 「제면봉귀주문(祭緬奉貴主文)」 · 「제망자천폄문(祭亡子遷窆文)」 · 「제망손천폄문(祭亡孫遷窆文)」 · 「제족숙진사원모문(祭族叔進士瑗謨文)」 · 「제망측실문(祭亡側室文)」 · 「휘경원천봉진향문(徽慶園遷奉進香文)」 · 「제종씨문(祭從氏文)」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홍현주시문고』 제13·14책은 『해거재문(海居齋文)』, 제15·16책은 『무량시권(無量詩卷)』, 제17책은 「음시처상량문(唫時處上樑文)」, 제18책은 「선언실권(宣言室卷)」(숙선옹주 著), 제19책은 「숙선옹주묘표석음기(淑善翁主墓表石陰記)」(洪奭周 著), 제20책은 「숙선옹주묘지(淑善翁主墓誌)」, 제21책은 「초당시초(蕉堂詩抄)」(洪祐喆 著), 제22책은 「좌의정홍공시장(左議政洪公諡狀)」(李鶴秀 著), 제23책은 「한중(閑中)」, 제24책은 「불가무차권(不可無此卷)」, 제25책은 「선부군유사(先府君遺事)」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홍현주시문고』 에서 『해거재시초』는 3권 1책으로 활자본(聚珍字)이 있다. 1832년에 쓴 주1과 주2의 서문과 홍우건(洪祐健)과 윤정진(尹正鎭)이 쓴 발(跋)이 있다. 『필계절목(筆契節目)』은 1책(18장)의 사본이다. 1859년에 김병학(金炳學)이 서(序)를 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