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릉 ()

조선시대사
유적
조선 제1대 국왕 태조의 어머니인 의혜왕후 영흥최씨의 능.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건립 시기
조선 전기
관련 국가
조선
관련 인물
의혜왕후
소재지
함경남도 함주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화릉(和陵)은 조선 제1대 국왕 태조의 어머니인 의혜왕후 영흥최씨의 능이다. 환조 정릉과 상하 동원이영으로 정릉이 위쪽, 화릉이 아래쪽에 있다. 화릉은 정릉과 상하로 배치되어 고려 말 사대부묘와 조선 전기 추존왕릉의 제도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현재 북한 함경남도 함주군에 자리한다.

정의
조선 제1대 국왕 태조의 어머니인 의혜왕후 영흥최씨의 능.
건립 경위

의혜왕후 영흥최씨는 조선 태조의 어머니로 남편은 환조(桓祖) 이자춘(李子春, 1315~1360)이다. 의혜왕후의 자녀는 정화공주(貞和公主)와 조선 태조이다. 1392년 태조가 즉위하자 의비(懿妃)로 추존하고, 화릉(和陵)으로 추봉하였다.

1387년 이색이 지은 「전주이씨 이거삭방이래분묘기(全州李氏 移居朔方以來墳墓記)」에 따르면 1387년에 이자춘의 묘 아래에 영흥최씨의 묘가 있었다고 한다. 이로 미루어 환조 정릉(定陵)과 의혜왕후 화릉은 처음 조영 시부터 상하 배치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조선 건국 뒤 왕릉에 준해 석물(石物)들이 갖추어졌음을 알 수 있다.

변천

일제강점기의 사진을 보면 화릉 장명등 상단과 문석인(文石人) 복두(幞頭)가 동(銅)으로 보수되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어서 잘 관리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형태와 특징

화릉은 정릉과 위아래로 조성되어 있으며 각기 석물이 건립되어 있다. 정릉은 상하계(上下階) 2단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화릉은 상중하계(上中下階) 3단으로 되어 있다. 화릉의 상계에는 병풍석(屛風石)을 두른 봉분 앞에 혼유석이 배치되어 있다. 봉분 주변에는 양석(羊石)과 호석(虎石)을 배치하고, 중계에는 장명등, 문석인, 석마(石馬), 하계에 무석인(武石人)과 석마가 건립되어 있다.

정릉과 화릉 정자각은 능 아래 80보, 홍살문은 정자각 남쪽 100보, 신도비는 정자각 서쪽 250보, 사지기비(四至記碑)는 정자각 서쪽 60보, 재실은 신도비 서북쪽 20보에 있다.

금석문

정릉에는 정릉 신도비(1393년 건립, 1611년 재건), 사지비(四至碑, 1412년), 1901년에 건립한 정릉 표석이 있다. 화릉 표석도 1901년 건립되었으며, 고종이 어필로 표석 앞면에 ‘대한의혜왕후화릉(大韓懿惠王后和陵)’이라는 전서(篆書)가 새겨져 있고, 뒷면에 음기(陰記)가 있다.

의의 및 평가

화릉은 조선 전기부터 정릉과 상하로 배치되어 고려 말 사대부묘와 조선 전기 추존왕릉의 제도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또 병풍석에 난간석(欄干石)이 없는 것이나, 망주석이 설치되지 않은 점 등 15세기 조선의 일반 왕릉과 다른 모습을 보여 준다.

참고문헌

원전

『북로능전지(北路陵殿志)』
『춘관통고(春官通考)』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