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6 ( )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6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6
불교
문헌
문화재
당나라 승려 실차난타가 번역한 『화엄경』을 고려 숙종연간에 간행한 불교경전. 사찰본.
이칭
이칭
화엄경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81년 03월 18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정의
당나라 승려 실차난타가 번역한 『화엄경』을 고려 숙종연간에 간행한 불교경전. 사찰본.
개설

198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당나라 실차난타가 번역한 『화엄경』80권 가운데 제66권으로 80화엄경 전체 39품 가운데 마지막인 제39품 입법계품⑦의 내용이다.

편찬/발간 경위

숙종년간에 사찰에서 새기고 찍어낸 목판본으로 새김이 정교하고 먹색깔이 진하여 인쇄가 선명하다. 아마도 11세기 말에 해인사 등 화엄사찰에서 판각한 것으로 추정된다.

서지적 사항

상하단변에 상하간 23.3㎝, 전체크기는 29.2㎝×1138㎝이다. 한 장에 24항 17자씩 배자되어 있다. 권수제는 ‘周 十七 十七’, ‘周 五十二 四’라고 주본화엄경임을 나타내는 주와 그 다음은 권차와 장차를 간략히 표시하고 있다. 권수에 표지와 본문 6첫째장 6항까지 탈락되었고 권말에는 양 끝에 옻칠한 전단목의 권축이 붙어 있다.

내용

화엄경은 부처님이 보리수 아래에서 정각을 이루고 7처 9회에서 39품으로 나눠 깨달음의 내용을 말씀하신 것이다. 이 권66은 입법계품⑦의 가지법회의 내용으로 선재동자가 법보계 장자, 보안장자, 실은 줄 모르는 왕, 대광왕, 부동우바이를 찾아가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었으나 어떻게 보살의 행을 배우며, 어떻게 보살의 행을 닦는지를 알지 못한다고 하면서 보살의 도를 물었다. 이에 대하여 음식, 보배, 옷, 장머, 보물 등을 보시하고 바른 법륜을 굴려 중생을 조복하는 집을 보여주고 질문한 바에 대해서는 보안장자를 소개하였다. 그는 모든 중생의 병을 치료하고 음식과 재물을 보시하는 것을 설하는 것을 듣고 그 다음 선지식을 찾아 같은 보살의 도를 질문하고 답을 들었다.

의의와 평가

이 판본은 고려 숙종연간에 새겨 찍은 해인사 판본 또는 해인사 판본 계열이다. 판식이나 판각수법, 인쇄상태, 지질 등으로 보아 1981년 국보로 지정된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7과 비슷한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8』(문화재보호협회, 1986)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박상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