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 불갑사 지장시왕도 ( )

영광 불갑사 지장시왕도
영광 불갑사 지장시왕도
회화
작품
문화재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불갑사 대웅전에 봉안된 조선시대 지장시왕도.
이칭
이칭
영광 불갑사 지장시왕탱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2011년 08월 26일 지정)
소재지
불갑면 모악리 8번지 불갑사
정의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불갑사 대웅전에 봉안된 조선시대 지장시왕도.
구성 및 형식

세로 203㎝, 가로 213㎝ 크기의 비단 바탕에 채색으로 지장보살과 시왕 등 명부의 성중들을 그렸다. 2011년 8월 26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내용

지장보살은 두건을 쓰고 오른손에는 육환장을, 왼손에는 보주를 쥐고 할절의(割截衣)를 입고 있다. 가슴에는 영락장식이 있고 팔목에 팔찌를 둘렀으며 귀고리를 달았다. 육환장 고리 안에는 편단우견에 항마촉지인을 한 석가모니불이 있다. 지장보살과 같은 얼굴을 한 도명존자는 합장을 하였고 시왕과 같은 얼굴을 한 무독귀왕은 경함을 두 손으로 받치고 있다. 시왕들은 붓 혹은 홀을 들거나 합장을 하거나 수염을 매만지거나 손짓이 다양하며 관 또한 원유관, 통천관 등으로 다양하다. 특히 열 번째 왕인 오도전륜대왕(五道轉輪大王)은 투구를 쓴 장수의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동자 둘, 판관 둘, 사자 둘, 옥졸과 장군 하나 등으로 명부의 모든 권속들을 빠짐없이 그렸다. 구름에 둘러 쌓인 육광보살은 꽃을 들거나 합장을 하고 있다. 조선시대 지장시왕도에 나오는 모든 성중들을 온전히 표현하여 구성에서 흠잡을 데가 없다. 성중들의 상호도 좋고 녹색과 붉은 색감도 곱고 필선도 부드럽다.

의의와 평가

1777년(정조 1)에 대웅전에는 삼세불도와 지장시왕도를, 팔상전에는 영산회상도를 각각 봉안하였다. 세 불화 모두 정조대 전라도를 대표하는 우수한 불화이다. 영조대를 거치며 절정에 다다른 불화의 경험이 잘 담겨있다. 불갑사에 명부전이 있지만, 불화를 걸 공간이 없기 때문에 지장시왕도는 대웅전에 걸은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화』37(성보문화재연구원, 2007)
『한국의 사찰문화재: 전라남도 III』(불교문화재연구소, 2006)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탁현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