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반야바라밀경 및 제경 ()

불교
문헌
문화재
고려 후기, 금강경을 포함하여 4개의 경전과 2개의 다라니를 합부한 육부 합부경전.
문헌/고서
간행 시기
1370년(공민왕 19)
권책수
1첩[20판, 100절]
판본
목판본
소장처
고원사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2018년 02월 22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군위군 송백로 1365 (소보면, 대한불교조계종 고원사)
내용 요약

『금강반야바라밀경 및 제경』은 고려 후기, 금강경을 포함하여 4개의 경전과 2개의 다라니를 합부한 육부 합부경전이다. 『금강반야바라밀경』, 『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사십이장경』, 『불유교경』과 위산의 법어집인 「위산경책」, 능엄주로 불리는 『대불정수능엄신주』, 「마리지천다라니」를 합부하였다. 주요 불교경전 가운데 핵심 부분을 모아 한 책으로 편성하여 수행자와 신자들이 사용이 편리하도록 우리나라에서만 간행된 독특한 경전이다.

정의
고려 후기, 금강경을 포함하여 4개의 경전과 2개의 다라니를 합부한 육부 합부경전.
서지 사항

목판본이며, 1첩[20판, 100절]이다.

편찬 및 간행 경위

『금강반야바라밀경 및 제경』은 『금강반야바라밀경』, 『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大方廣佛華嚴經入佛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 『불유교경(佛遺敎經)』, 「위산경책(潙山警策)」, 『대불정수능엄신주(大佛頂首楞嚴神呪)』, 『마리지천다라니(摩利支天陀羅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려시대에 유행한 불교경전과 관련 자료로 구성된 첩본(帖本)으로, 1370년( 공민왕 19)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경전의 구성 등이 국내에서 보기 드문 희귀본이며, 발문과 시주 명단인 시주질(施主帙) 등을 통해 간행 시기와 참여자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구성과 내용

『금강반야바라밀경』, 『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사십이장경』, 『불유교경』은 경전이고, 「위산경책」은 당나라의 선승으로 위앙종의 종조인 위상영우(潙山霊祐, 771~853)가 수행승을 경책하는 법어이다.

『대불정수능엄신주』는 능엄경의 주문으로 널리 독송되었으며, 「마리지천다라니』는 불공역의 『불설마리지천다라니경(佛說摩利支天陀羅尼呪經)』에 있는 주문이다. 마리지천은 경전에 따르면 항상 눈앞에 있지만, 그 모습을 볼 수 없다고 한다. 사람이 마리지천의 이름을 알면 그 사람은 보이지 않고, 인식되지 않는다고 한다고 하니 이러한 것도 합부의 이유가 되었을 것이다.

합부경전은 4경 합부, 6경 합부 등의 형식이 있는데, 주요 불교경전 가운데 핵심 부분을 한 책으로 편성하여 수행자와 신자들이 항상 수지하고 독송에 편리하도록 우리나라에서만 간행된 독특한 경전 유통 형태로 당시 폭발적인 수요가 있었고, 15세기에 집중적으로 간행되었다.

합부되는 경전도 같지 않아 6종, 7종, 12종 등 다양하고, 대표서명도 금강경, 법화경, 화엄경, 능엄경 등 다양하다. 본 문헌은 고려시대의 합부본으로서 주목할만하다.

의의 및 평가

고려시대에 유행한 불교경전, 법어, 주문으로 합부된 첩본으로, 경전의 구성 등이 국내에서 보기 드문 희귀본이다. 발문과 시주질 등을 통해 고려시대 불교신앙 그리고 선종 연구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다. 본 합부경은 유행의 시발점이라 할 수 있는 고려시대본이다. 2018년 2월 22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불설마리지천보살다라니경(佛說摩利支天菩薩陀羅尼經)』

논문

남권희 · 석혜영, 「1284년 충렬왕, 원성공주 발원 금자대장 『백천인타라니경(합부)』의 서지적 연구」(『서지학연구』 74, 한국서지학회, 2018)
송일기 · 김유리, 「「육경합부」의 판본 연구」(『서지학연구』 52, 한국서지학회, 2012)
吉田 典代, 「摩利支天をめぐる言説と美術 日天との関わり」(『研究年報』 65, 学習院大学文学部, 2019)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집필자
김천학(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