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는 조선 전기, 수륙재의 의식과 절차를 수록하여 왕실에서 간행한 불교의례서이다. 송나라 지반이 1270년에 저술한 『수륙신의』 6권에 실린 의식을 1권으로 줄인 것이다. 수륙재는 육지와 물에서 죽은 외로운 영혼들을 달래는 불교 의례이다. 후대본의 권미제는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일권”으로 되어 축약본임을 밝히고 있다.
송나라 지반(志磐)이 저술하였다.
수륙재는 인도의 시아귀재에서 연원하며, 육지와 물에서 죽은 외로운 영혼들을 달래는 불교 의례이다. 중국에서 매우 성행했던 재(齋)의 하나이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후기부터 저변이 확대되었다.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는 수륙재의 기원과 의식, 절차 등을 모은 불교의 의례서이다. 원래는 『불조통기(佛祖統紀)』의 저자인 송나라 승려 지반(志磐)이 1270년에 저술한 『수륙신의(水陸新義)』 6권을 가리키지만,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본 문헌은 『수륙신의』와 다르다.
지반의 6권본은 현재 일실되었고, 명나라 주굉(袾宏, 1535~1615)이 중정(重訂)한 것만이 남아 있어 그 실체는 알기 어렵다.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의 권수제(卷首題)는 주굉 중정(重訂)본과 같고, 권미제는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일권(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一卷)”으로 되어 있다.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는 고려시대에 죽암유공(竹菴猷公)이 남송 자기(子夔)의 『천지명양수륙재의문(天地冥陽水陸齋儀文)』을 간소화한 것이다. 즉, 본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는 죽암의 문헌을 설행이 용이하게 다시 편집한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지반문(志磐文)』으로 불렀으며, 주굉의 중정본과는 설법 내용이 상이하다.
조선 초기의 인쇄기술의 연구와 함께, 중국과 한국의 수륙재문의 비교에 유용하고, 원래 『지반문』의 형태를 추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 2017년 12월 26일 보물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