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정 ()

근대사
인물
해방 이후 마산결핵요양원 간호원장을 역임한 의료인. 간호사.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897년(고종 34)
사망 연도
1965년 9월 24일
출생지
함경남도 영흥군 순영면 대흑석리
관련 사건
1926년 세브란스 병원 분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해방 이후 마산결핵요양원 간호원장을 역임한 의료인. 간호사.
개설

이효정(李孝貞)은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간호부양성소를 졸업하고, 세브란스병원 간호부로 일하였다. 함흥 제혜병원, 캐나다선교회 보건부, 영등포 도화병원, 국립마산결핵요양원에서 30여 년간 간호사 생활을 하였다. 1957년 한국 최초로 나이팅게일기장(記章)을 수상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97년 함경남도 영흥에서 출생하여 1924년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간호부양성소 산파학과를 졸업하였다. 세브란스 병원 간호부양성소는 1906년 9월에 설립되어 1920년대 초반 해부학 시간에 진흙으로 뼈의 모형을 제작하는 등 수준 높은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이효정이 졸업한 후인 1924년 9월 조선총독부는 세브란스 병원 간호부양성소를 간호교육기관으로 지정하였다. 1925년에는 수업 연한도 1년에서 3년으로 연장하였다.

이효정은 세브란스병원 간호부로 근무하던 1926년 11월에 동료인 김덕은(金德恩), 정도은(鄭道恩)과 함께 병원을 대상으로 분규를 일으켰다. '기숙사 보모의 불공평한 태도 개선, 기숙음식 개선, 밤 근무 간호원의 증원, 간호원이 환자 음식을 나르는 신 규정 폐지'를 요구하는 진정서를 병원에 제출하였다. 같은 해 12월 21일 병원 이사회는 이효정 등에게 면직을 명령하였다. 간호부의 열악한 노동환경을 개선하려는 이 움직임은 세브란스 병원 간호부양성소 학생 4명의 정학으로 이어졌고, 학생들은 동맹휴학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1927년부터 이효정은 다시 세브란스 병원 간호부가 되어 4년간 일하였다. 이후 함흥 제혜병원, 캐나다선교회 보건부, 영등포 도화병원, 국립 마산결핵요양원 등에서 30여 년간 간호사로 근무하였다. 6 · 25 전쟁 때는 마산에 북한 인민군이 들어와서 병원 직원이 철수하였을 때, 혼자 병원에 남아서 환자를 간호하기도 하였다. 이효정은 평생 간호실무자로 일하다 1961년 은퇴하였다. 1965년 9월 24일 서울 마포구 상수동 자택에서 별세하였다.

상훈과 추모

1951년 보건사회부 장관으로부터 공중위생상과 결핵 예방상을 받았고, 같은 해 대한간호협회 회장상을 수상하였다. 마산결핵요양원 간호원장으로 재직하던 시기인 1957년 5월에는 한국적십자사의 추천을 받아 한국인 최초로 제16회 나이팅게일기장을 수상하였다. 나이팅게일기장은 1920년부터 간호 활동이나 보건사업에 현저한 업적을 이룬 사람에게 국제적십자사에서 국제 기념 메달을 수여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근대간호사』(이꽃메, 한울, 2003)
「간호의 역사, 잊지 못할 순간들: 1957년, 이효정 한국 최초로 제16회 나이팅게일기장 수상」(윤진아, 『대한간호』 47-3, 대한간호협회, 2008)
「‘세부란스’병원의 간호소생 동요?」(『동아일보』, 1926.12.23)
「선동자를 축출」(『동아일보』, 1926.12.25)
「간호부 보모간 난투후 동맹파업」(『매일신보』, 1927.1.3.)
『동아일보』(1959.5.31)
「첫 ‘나이팅게일’ 이효정여사 별세」(『동아일보』, 1965.9.2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