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하본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신라시대,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간행되는 시점부터, 책판을 새기기 위한 용도로 진한 먹으로 정서하여 만들어진 사본.
이칭
이칭
등재본(登梓本)
내용 요약

판하본은 책판(冊版, 木板)을 판각할 때, 판목(版木)에 뒤집어 붙여서 종이에 비춰 보이는 각 글자의 윤곽대로 새길 수 있도록, 얇은 종이에 진한 먹으로 정서(淨書)한 사본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판하본은 목판본을 판각하기 위하여, 정서한 원고를 목판에 뒤집어 붙인 후 종이의 뒷면에 비춰 보이는 글자의 윤곽에 따라 각 글자를 새겨 냄으로써 소멸하게 되지만, 목판본 간행의 원천(原泉)이 된다는 점에서 그 중요한 의의가 있다.

키워드
목차
정의
신라시대,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간행되는 시점부터, 책판을 새기기 위한 용도로 진한 먹으로 정서하여 만들어진 사본.
내용

판하본(版下本)은 책판(冊版, 木板)을 판각할 때, 판목(版木)에 뒤집어 붙여서 종이에 비춰 보이는 각 글자의 윤곽대로 새길 수 있도록 얇은 종이에 진한 먹으로 주1 책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렇게 원고를 최종적으로 정서하여 만들어진 사본(寫本)을 ‘등재본(登梓本)’ 또는 ‘판하본’이라고 한다. 즉, 판하본의 각 장을 각각의 목판에 뒤집어 붙이고, 그 붙인 종이의 뒷면에 비춰 보이는 글자의 윤곽(輪廓)에 근거하여 각 글자를 새기기 때문에, 목판을 새김과 동시에 판하본은 사라지고 만다. 따라서 판하본은 목판본을 새기기 위해 순수한 용도로 정서하여 만들어진 사본을 의미한다. 또한 기존의 간인본(刊印本: 목판본, 활자본)을 해체하여, 해체된 각 장을 목판에 뒤집어 붙여 판하용(板下用)으로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판하본의 용도로 정서한 고본(稿本)은 판각용 정서고본(板刻用淨書稿本), 판각용 정고본(淨稿本), 상재용 정고본(上梓用淨稿本), 등재용(登梓用) 정고본 등의 용어를 사용한다. 고본이 아닌 것을 판하용(版下用)으로 정서한 것은 판각용 정서본 또는 판서본(板書本) 등의 용어도 사용한다.

판하본(版下本)에 대한 사례 중 하나는 고려재조대장경(高麗再造大藏經, 팔만대장경: 해인사대장경(八萬大藏經: 海印寺大藏經))을 판각하기 위하여 대장경의 각 주2을 구양순체(歐陽詢體)로 정서한 판하본을 들 수 있다. 이것은 고려재조대장경을 조조(雕造, 1236~1251)할 당시에, 불력(佛力)의 수호로 몽고[元]의 침략을 물리치고자 하는 정성을 표시하기 위한 징표로, 8만 1천여 판(板)의 양면(兩面)에 대장경 전체를 주3으로 판각하기 위하여, 그 판하본(版下本) 전체를 완전히 구양순체(歐陽詢體)로 새로이 모두 정서하여 마련함으로써 대장경의 판각(板刻) · 조조(雕造)에 임하였다는 사실(史實)이 있다. 고려재조대장경을 판각하기 위하여 마련한 판하본이야말로 판하본의 귀감이 된다고 하겠다.

한편, 금속활자본(金屬活字本)을 해체하여 판하본으로 활용하여 목판인쇄본으로 간행한 최초의 사례는 『남명(법)전화상송증도가(南明(法)泉和尙頌證道歌, 1239)』에서 확인된다. 즉, 당시 무신정권(武臣政權)의 제1인자였던 최충헌의 아들 최이(崔怡: 초명 최우(崔瑀), ?~1249)는 목판 인쇄본 남명 증도가의 주4간기(刊記)에서, “1239년 9월에, 『남명증도가』는 주5에 매우 긴요한 책인데 그 전래가 끊겨 유통되지 못함에, 집안에 전래되어 오던 주자본(鑄字本: 금속활자본) 『남명증도가(南明[法泉和尙頌]證道歌)』를 (해체하여 판본으로 거듭 새겨[重彫] 목판 판각) 간행함으로써 오래 전래될 수 있게 한다.”라고 선언하고 있다. 이 기록은 1211년 무렵에 주조된 금속활자본 『남명송증도가(南明頌證道歌)』를 해체하여 판하본으로 삼아 목판 판각하여 인쇄함으로써, 1239년에 목판인쇄본으로 간행되었음을 증명해 주고 있다.

의의와 평가

판하본은 목판본을 판각하기 위하여, 정서한 원고를 목판에 뒤집어 붙인 후 종이의 뒷면에 비춰 보이는 글자의 윤곽에 따라 각 글자를 새겨[刻] 냄으로써 소멸하게 되지만, 목판본 간행의 원천(原泉)이 된다는 점에서 그 중요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원전

『남명[법]전화상 송 증도가(南明[法]泉和尙頌證道歌)』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단행본

이기영, 『고려대장경해제』(동국대학교, 1978)
사공 철 등편, 『문헌정보학 용어사전』(한국도서관협회, 1996)
남권희, 『고려시대 기록문화 연구』(청주고인쇄박물관, 2002)
천혜봉, 『한국서지학』(민음사, 2006)
주석
주1

글씨를 깨끗이 씀. 우리말샘

주2

삼장(三藏) 가운데 경장과 논장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

있는 정성을 다함. 또는 그 정성. 우리말샘

주4

책의 끝에 본문 내용의 대강(大綱)이나 간행 경위에 관한 사항을 간략하게 적은 글. 우리말샘

주5

참선으로 자신의 본성을 구명하여 깨달음의 묘경(妙境)을 터득하고, 부처의 깨달음을 교설(敎說) 외에 이심전심으로 중생의 마음에 전하는 것을 종지(宗旨)로 하는 종파. 중국 양나라 때 달마 대사가 중국에 전하였다. 우리나라에는 신라 중엽에 전해져 구산문이 성립되었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성수(청주대학교 명예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