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대부 ()

목차
관련 정보
과학기술
개념
조선 초기, 천상열차분야지도에 그려진 조선 고유의 별자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종대부는 조선 초기 천상열차분야지도에 그려진 조선 고유의 별자리이다. 다이아몬드 모양의 별 4개로 이루어진 종대부 별자리는 중국의 천문도에는 등장하지 않으며, 조선 초기 1395년(태조 4)에 제작된 조선 왕조의 정통성을 담은 천문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에 처음 등장하였다. 종대부라는 명칭으로 보아 조선 왕조의 왕실을 상징하는 조선 고유의 별자리이다.

목차
정의
조선 초기, 천상열차분야지도에 그려진 조선 고유의 별자리.
내용

동아시아의 전통 별자리는 중국의 『진서(晉書) 천문지(天文志)』(644년)에 1,464개의 별이 수록된 이후, 8세기 전반 『보천가(步天歌)』에서 ‘삼원(三垣) 이십팔수’로 확정된 체계가 17세기 초 명대(明代) 말까지 변하지 않았다. 삼원은 북극 주변에 위치한 자미원(紫微垣), 그 남쪽에 위치한 태미원(太微垣), 그리고 서쪽에 위치한 천시원(天市垣)이다. 자미원은 하늘의 궁정을, 태미원은 하늘에 있는 정부 종합 청사를, 천시원은 백성들이 사는 하늘의 저잣거리를 상징하는 별자리들로 구성되어 있다. 천시원에는 저잣거리의 사물들뿐만 아니라 황실(皇室)의 종친(宗親)인척(姻戚)을 상징하는 별자리들도 포함되어 있다. 황실 종친의 대부(大夫)로 종실의 잘잘못을 다스리는 관리인 ‘종정(宗正)’, 종친의 제사를 관장하는 ‘종인(宗人)’, 그리고 천자를 보필하는 인척인 ‘종성(宗星)’이 그것들이다.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는 조선 건국 초인 1395년(태조 4)에 제작된 조선의 정통 천문도(天文圖)이다. 고려 왕조에서 회수된 천명(天命)을 태조 이성계(李成桂)가 받아 조선을 건국하였음을 만천하에 밝히는 의미를 지녔다. 이 천문도에는 모두 1,467개의 별이 수록되어 있으며, 이는 중국 천문도보다 3개가 더 많다. 몇 개의 별자리에서 가감이 있으며, 중국 천문도에는 없는 ‘종대부(宗大夫)’라는 별자리가 추가되었다. 종대부 별자리는 4개의 별이 다이아몬드 모양을 이루며, 천시원의 중국 황실 관련 별자리들이 있는 곳에 자리하고 있다. 그 위치와 ‘종대부’라는 명칭으로 보아, 왕실 관련 별자리로 추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조선 왕조를 상징하는 조선 고유의 별자리라고 할 수 있다.

조선의 천문학은 일본에도 전해져 일본 천문학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조선의 역법(曆法)을 배워 1684년(숙종 10)에 일본의 ‘정향력(貞享曆)’이라는 역법을 만든 시부카와 하루미〔澁川春海〕가 1676년(숙종 2)에 그린 ‘천문분야지도(天文分野之圖)’에서 그 영향을 잘 볼 수 있다. 시부카와 하루미는 ‘천문분야지도’를 그리면서 중국 천문도가 아닌 조선의 ‘천상열차분야지도’를 계승하여, 조선 고유의 별자리인 ‘종대부’를 그의 천문도에 그려 넣었다.

참고문헌

원전

「복각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보물 837호, 국립고궁박물관)
「천상열차분야지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청구기호 古軸7300-3)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국보 228호, 국립고궁박물관)

단행본

문중양, 『우리역사 과학기행』 (동아시아, 2006)
박창범, 『하늘에 새긴 우리역사』 (김영사, 2002)

논문

박창범,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별그림 분석」 (『한국과학사학회지』 20-2, 한국과학사학회, 1998)
집필자
문중양(서울대학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