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준 ()

근대사
인물
개항기 때, 홍문관제학, 형조판서, 판의금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충백(忠伯)
시호
충익(忠翼)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21년(순조 21)
사망 연도
1901년(고종 38)
본관
우봉(牛峯, 지금의 황해도 금천)
정의
개항기 때, 홍문관제학, 형조판서, 판의금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우봉(牛峯). 자는 충백(忠伯). 이선(李선)의 아들로 이식(李埴)에게 입양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64년(고종 1) 경과증광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10월에 홍문관 수찬이 되었다. 이어 승정원동부승지로 특별 임명되었으며, 1865년 홍문관 부제학을 거쳐 주1에 임명되었다. 이듬 해에 다시 홍문관 부제학이 되어 여러 차례 소(疏)를 올리며 소임을 다하였다.

1867년에 주2, 1870년에는 전라도관찰사에 임명되었다. 당시 전라도지방의 행정에 진력해 외침에 대비한 성의 보수(補修)와 군사훈련에 주력하였다. 3년 여의 전라도관찰사를 지낸 뒤 1872년 11월 규장각 직제학이 되었다. 1874년 주3에 올랐으며, 이듬 해에는 시강원우빈객과 좌부빈객으로 세자의 교육을 맡았다.

1879년 주4이 되었다가 다시 형조판서를 거쳐, 이듬 해에 예조이조 판서를 역임하였다. 1883년 병조판서가 되고, 같은 해 9월 주5로 특별 발탁되었다. 갑신정변 직전인 1884년 6월에는 주6 겸 사은정사(冬至兼謝恩正使)로 청나라에 다녀오기로 되어 있었으나, 청나라에 다녀와 주7하였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1885년 5월 예조판서를 거치고 그 해 8월 판돈녕부사 · 주8 · 홍문관 제학 등을 두루 거쳤으며, 이듬 해 2월에는 다시 예문관제학이 되었다. 그 해 6월에 경상도관찰사로 다시 외직에 나갔다. 전라도에 이어 경상도의 관찰사를 역임하여 당대의 관리 중에서 누구보다 지방 실정에 밝은 관리가 될 수 있었다.

1888년에는 주9 · 예문관제학 · 규장각제학 · 판의금부사 등을 다시 역임하였다. 1889년에 이르러서는 판의금부사 · 홍문관제학을 지내고 이듬 해 형조판서 · 판의금부사, 1893년 판중추부사를 지냈다.

1896년에는 품계가 정1품에 오르고 규장원경 겸 왕태자궁일강관(奎章院卿兼王太子宮日講官)이 되었으며, 칙임관3등에 올랐다. 이듬 해 중추원의장에 칙임관1등이 되었고, 1898년 궁내부 특진관이 되었다. 같은 해 의정부참정(議政府參政)을 지냈으며, 1899년에는 금보전문서(金寶篆文書) 서사관(書寫官)을 지냈다. 1901년 궁내부특진관으로 재임하였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일성록(日省錄)』
『고종시대사』1∼5(국사편찬위원회, 1970·1971)
주석
주1

이조에 속한 정삼품의 당상관. 이조 참판의 아래이다.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승정원의 예방을 맡아보던 우승지. 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에 둔, 형조의 으뜸 벼슬. 품계는 정이품이다. 우리말샘

주4

조선 시대에, 한성부의 으뜸 벼슬. 품계는 정이품이다. 우리말샘

주5

조선 시대에 둔, 의금부의 으뜸 벼슬. 품계는 종일품이다. 우리말샘

주6

조선 시대에, 중추부에 속한 종이품 벼슬. 우리말샘

주7

명령을 받고 일을 처리한 사람이 그 결과를 보고함. 우리말샘

주8

조선 시대에 둔, 의금부의 으뜸 벼슬. 품계는 종일품이다. 우리말샘

주9

고려 시대에 둔, 전공사 및 공조(工曹)의 으뜸 벼슬. 품계는 정삼품이다. 우리말샘

주10
주11

각 관아에서 필사하는 일을 맡아 하는 잡직의 구실아치. 우리말샘

집필자
박맹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