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탄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인물
1269년(원종 10), 북계 지역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몽골로 투항하여 동녕부 설치의 빌미를 주었던 반역자.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미상
출생지
미상
주요 저서
미상
주요 작품
미상
주요 관직
서북면병마사영기관|동녕부총관
관련 사건
1269년(원종 10) 북계 지역의 반란
내용 요약

최탄은 1269년(원종 10) 북계(北界) 지역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몽골로 투항하여 동녕부(東寧府) 설치의 빌미를 주었던 반역자이다. 최탄, 한신(韓愼) 등이 저항을 일으킨 시기는 임연(林衍)의 원종 폐립에 따른 몽골의 압력이 가중되어 전쟁의 기운이 감돌던 시점이었다. 최탄 일파의 투몽(投蒙)은 지배층의 수탈에서 벗어나고자 했던 민의 투몽과는 구별되지만, 이들이 혼란스러운 고려 사회에서 새로운 세력으로 부상했다는 점은 무신정권의 붕괴와 저항 세력의 동향에도 영향을 끼쳤다.

목차
정의
1269년(원종 10), 북계 지역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몽골로 투항하여 동녕부 설치의 빌미를 주었던 반역자.
가계 및 인적사항

최탄(崔坦)은 고려의 서북면(西北面) 출신이며, 그의 가계는 자세히 알 수 없다.

주요 활동

최탄은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의 주1로서, 1269년(원종 10)에 임연(林衍)원종(元宗)을 폐하고 원종이 동생인 안경공(安慶公) 왕창(王淐)을 국왕으로 세우자, 한신(韓愼), 이연령(李延齡), 계문비(桂文庇), 현효철(玄孝哲) 등과 모의하여 임연을 벤다는 명목으로 반란을 일으켰다. 주2, 함종(咸從), 삼화(三和) 등 여러 현(縣)의 사람들을 불러 모아 현령(縣令) 최원(崔元)을 죽이고, 가도(椵島)에 들어가 분사어사(分司御史) 심원준(沈元濬), 감창사(監倉使)[^3] 박수혁(朴守奕)과 주4 등을 살해하였다. 이들이 처단한 지방관과 경별초는 무신정권의 정국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자들이다. 이로 볼 때 이들의 저항은 무신정권의 정국 운영에 대한 조직적인 반발로 인한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강도(江都: 강화) 정부에서는 이군백(李君伯)을 북계안무사(北界按撫使), 현문혁(玄文革)을 역적방호장군(逆賊防護將軍)에 임명했으나, 최탄은 “임금이 없는 지금 주5를 누가 보낸 것이냐?”라고 하면서 저항을 계속하였다. 그는 군사를 이끌고 서경유수(西京留守) 최년(崔年), 판관(判官) 유찬(柳粲), 사록(司錄) 조영불(曺英紱) 등과 여러 성(城)의 원리(員吏)들을 죽였다.

이후 몽골 사신 탈타아(脫朶兒)를 만나 서경(西京)을 비롯하여 북계(北界)의 54성과 자비령(慈悲嶺) 이북의 황해도 6성을 들어 몽골에 주6할 것을 표명하였다. 또한 그는 일당인 이연령을 탈타아에게 보내, 고려의 주9이 침노한다고 하며 군사 3,000명을 파견해 주기를 청하였다. 1270년(원종 11) 1월 망가도(忙哥都: 蒙哥都)는 안무사로서 몽골 군사를 거느리고 서경에 주둔하여 최탄의 위세를 뒷받침해 주는 동시에 임연에게 압박을 가하게 되었다. 원나라 세조는 최탄과 이연령에게 금패(金牌)를, 현효철과 한신에게 은패(銀牌)를 각각 주고, 자비령을 경계로 이북 지역을 몽골에 내속시켜 동녕부(東寧府)를 설치하면서 최탄을 동녕부총관(東寧府摠管)으로 삼았다.

1285년(충렬왕 11), 최탄, 한신, 현효철 등이 계문비 휘하의 사람들을 잡아서 주7하기를, “이 자들은 재상(宰相) 염승익(廉承益)과 함께 우리를 죽이려고 모의하였다.”라고 하였다. 몽골에서 사람을 파견하여 요동선위사안찰부(遼東宣慰使按察府)에 알리니, 선위사는 안무총동경관(安撫摠東京管)을 파견하여 이들을 주10하도록 하였다. 다음 해에 고려 정부는 관리를 파견하여 몽골 사신과 함께 동녕부에서 이들을 대질했더니, 최탄 무리의 무고임이 드러났다. 이후의 최탄의 행적은 주8에서 드러나지 않는다.

동녕부는 무신정권의 몰락 및 삼별초항쟁이 벌어지는 상황에서 원나라의 직할령(直轄領)이 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이후 동녕부는 1275년(충렬왕 1) 동녕로총관부(東寧路總管府)로 승격되었으나, 고려에서 자주 이를 돌려달라고 요청한 결과 1290년(충렬왕 16)에 고려에 돌려주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김상기, 『고려시대사』(동국문화사, 1961)
홍승기, 『고려 무인정권 연구』(서강대학교 출판부, 1995)
김당택, 『고려의 무인정권』(국학자료원, 1999)
신안식, 『고려의 무인정권과 지방사회』(경인문화사, 2002)

논문

강재구, 「몽골의 고려 북계 분리 시도와 동녕부의 편제」(『지역과 역사』 39, 부경역사연구소, 2016)
신안식, 「고려 후기의 영토분쟁: 쌍성총관부와 동녕부를 중심으로」(『군사』 99,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6)
최윤정, 「13세기 여원 관계와 홍다구: 동녕부 치폐(1270-1290) 배경 재론」(『중국사연구』 105, 중국사학회, 2016)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감영ㆍ군영ㆍ수영에 속하여 있던 서리. 우리말샘

주2

평안남도에 있는 한 면. 용강군의 군청 소재지이다. 우리말샘

주3

고려 시대에, 창고의 관리 및 감독을 맡아 하던 외직(外職) 벼슬. 동북면과 서북면에 두었다. 우리말샘

주4

고려 시대에, 중앙군에 속한 별초. 우리말샘

주5

나라에 병란(兵亂)이 있을 때에, 임금의 명령을 받들어 백성에게 훈유(訓諭)를 알리던 임시 벼슬. 또는 그런 벼슬아치. 우리말샘

주6

스스로 와서 복종함. 우리말샘

주7

사실이 아닌 일을 거짓으로 꾸미어 해당 기관에 고소하거나 고발하는 일. 우리말샘

주8

역사 연구에 필요한 문헌이나 유물. 문서, 기록, 건축, 조각 따위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9

고려 시대에, 수도 지역에 근무하던 군사. 이군 육위로 이루어져 있었다. 우리말샘

주10

국청(鞠廳)에서 형장(刑杖)을 가하여 중죄인(重罪人)을 신문하던 일. 임금의 명령이 필요하였다. 우리말샘

집필자
신안식(가톨릭대학교 연구교수, 고려시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