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준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후기 김직재의 옥사사건과 관련된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김해(金海)
정의
조선후기 김직재의 옥사사건과 관련된 무신.
개설

본관은 김해(金海). 아버지는 수사 김우(金宇)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11년(광해군 3) 광해군을 몰아내고자 한 김직재(金直哉)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

1637년(인조 15) 봉림대군(鳳林大君)·소현세자(昭顯世子)·인평대군(麟坪大君)과 함께 인질로 심양(瀋陽)에 갈 때 옥하관(玉河關)에 이르러 「월명비안(月明飛雁)」의 시를 읊은 것으로 유명하다.

무용(武勇)으로 이름을 떨쳐 심양에 있을 때 청나라 장수 우거(禹巨)가 김여준의 무용을 인정하고 두 사람이 씨름을 하다가 우거가 죽었으나 군법(軍法)이라 하여 죄를 받지 않았다. 본국으로 돌아와 벼슬에 나가지 않고 전라남도 영암에서 일생을 마쳤다.

효종이 즉위하자 부름을 받았으나 이미 죽은 뒤라 관직을 내려 영혼을 위로하였다. 또, 효종은 달 밝고 기러기 나는 밤에 그를 추억하는 시제(詩題)로써 선비들을 시험하였다.

참고문헌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집필자
조계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