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제도
고려시대에, 승과에 급제한 승려에게 하사되던 승계.
이칭
이칭
대도사(大導師)
속칭
승려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신라 하대
내용 요약

대사(大師)는 고려시대 승계 중 하나이다. 신라 하대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고려시대에는 대개 승과에 급제한 승려들이 대덕을 거쳐 제수받는 승계로 종파의 구분 없이 사용하였다. 조선시대에 승과가 폐지된 뒤에는 일반 승려들을 칭하는 호칭으로 사용되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에, 승과에 급제한 승려에게 하사되던 승계.
내용

대사(大師)는 원래 부처님에 대한 존칭인 대도사(大導師)의 줄임말로 승려를 높이는 말로 사용되었다. 고려시대에는 법계(法階)의 하나로도 사용되었다.

중국에서는 조정에서 고승들에게 호를 내릴 때 대사라는 칭호를 덧붙였는데, 780년 당나라 주1이 운호에게 삼혜대사(三慧大師), 승철에게 정광대사(淨光大師)의 호를 내린 것이 그 시초로 알려져 있다. 고승에게 대사의 호를 내리는 관습이 신라에도 전승되어 나말여초(羅末麗初)에는 대사의 칭호를 붙이는 경우가 많았다. 나말여초에 활동한 주요 선승들 중에는 왕명으로 시호와 함께 대사호가 내려지고 탑비가 세워지기도 했다. 고려 초 광종태조가 스승으로 우대하였던 승려들을 대사로 높였다.

고려시대 광종 대 승과(僧科)가 실시되고 승정이 정비되면서 대사는 승려의 법계 중 하나가 되었다. 국가에서 종파별로 실시한 승과의 대선(大選)에 합격하면 대덕(大德)을 거쳐 대사가 되고, 그 뒤 중대사(重大師) · 삼중대사(三重大師)가 되었다. 이후 선종선사(禪師)대선사주2되었고, 교종수좌(首座)에서 승통(僧統)으로 승차되었다.

조선 초기에는 승려가 교종선(敎宗選)에 합격하면 중덕(中德)과 대덕을 거쳐 대사에 이르게 되었으며, 대사를 거쳐 도대사(都大師)가 되면 교종을 관장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1566년(명종 21) 주3과 승과가 폐지됨에 따라 이 법계는 없어졌으며, 대사라는 명칭은 일반화되었다. 이때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주4을 막론하고 승려를 대사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아졌다. 속인들은 승려의 연령이나 학덕 및 수행 연한에 관계없이 대사라 불렀고, 승려들 사이에서는 자기의 동류나 손아래가 되는 이를 대사라 하였다. 특히, 절의 모든 사무를 맡아보는 사판승(事判僧)이나 강원에서 공부하거나 가르치는 승려를 대사라고 불렀으며, 이에 반하여 선원에서 수선(修禪)하는 승려들을 수좌(首座) 또는 선사(禪師)라 하였다.

의의 및 평가

대사와 관련된 자료는 고려시대 국가의 불교 교단 운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원전

이능화,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신문관, 1918)

단행본

허흥식, 『高麗佛敎史硏究』(일조각, 1986)

논문

김윤지, 「高麗 僧政 硏究」(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2)
주석
주1

중국 당나라의 제17대 황제(833~873). 성은 이(李). 이름은 최(漼). 환관의 옹립으로 황제가 되었지만 사치와 향락에 빠져 정사를 돌보지 않았다. 또한 무거운 세금 징수와 잦은 향연으로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나 나라가 멸망하게 되는 단초를 제공하였다. 재위 기간은 859~873년이다. 우리말샘

주2

하랍(夏臘)에 따라 정하여지는 승려의 차례. 우리말샘

주3

조계종과 천태종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고려 숙종 때에 대각 국사 의천이 교(敎)ㆍ선(禪)의 일치를 주장하여 해동 천태종을 개창하고 종래의 구산선문의 선덕종을 조계종이라고 개칭한 데서 유래한다. 우리말샘

주4

승려와 승려가 아닌 속인(俗人)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