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씨상서평 ()

목차
관련 정보
매씨상서평
매씨상서평
유교
문헌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매씨상서』의 진위를 고증하여 1834년에 저술한 평론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매씨상서』의 진위를 고증하여 1834년에 저술한 평론서.
내용

9권 3책. 필사본. 정약용이 말년인 1834년(순조 34)에 저술한 것으로 『열수전서(洌水全書)』 권16∼19와 『여유당집(與猶堂集)』 권20∼24 및 『정본 여유당전서』 제13책에 수록되어 있다. 필사자 및 필사연대는 알 수 없다.

편차를 보면, 「매씨서평(梅氏書平)」1에 먼저 이 책의 저술동기를 밝히고, 이어 총서(總敍)·복생소전금문상서제일(伏生所傳今文尙書第一)·공안국소헌고문상서제이(孔安國所獻古文尙書第二)·두림전고문상서사제삼(杜林傳古文尙書事第三)·매색소주공전상서제사(梅賾所奏孔傳尙書第四)·건무순전고제오(建武舜典考第五)·하내태서고제육(河內泰誓考第六)·장패위서고제칠(張覇僞書考第七) 등이 실려 있다.

「매씨서평」 2에 대서(大序) 1∼4, 정의(正義) 1∼10, 집전(集傳) 1∼10, 「매씨서평」 3에 원사(寃詞) 1∼24, 「매씨서평」 4에 원사(寃詞) 25∼40, 유의(遺議) 1∼8, 강의(講義) 1∼4 등이 실려 있다.

「매씨서평」 5에 대우모(大禹謨)·오자지가(五子之歌)·윤정(胤征) 등, 「매씨서평」 6에 중훼지고(仲虺之誥)·이훈(伊訓)·태갑(太甲) 등, 「매씨서평」 7에 함유일덕(咸有一德)·열명(說命)·태서(泰誓) 등, 「매씨서평」 8에 하내태서(河內泰誓)·무성(武成) 등, 「매씨서평」 9에 미자지명(微子之命)·주관(周官)·군진(君陳)·군아(君牙)·경명(冏命)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매씨서평」 1의 서두에 “일찍이 내가 서울에서 공부할 때 사우간(師友間)에 『매씨상서』 25편의 문체(文體)가 비순(卑順)하다는 말을 듣고 의심한 바 있었다. 또한 1792년(정조 16) 희정당(熙政堂)에서 「우공편(禹貢篇)」을 시강(侍講)할 때 임금께서 금문(今文)·고문(古文)에 대해 수 백조를 물으셨으나 이에 대답하지 못했는데, 이제(1834년) 『매씨상서』에 대한 여러 사람들의 말을 모아 책을 저술하고 보니 임금(정조)이 안 계신 지금 한스러운 마음이 든다.”고 소회를 피력하고 있다.

『서경(書經)』은 진시황(秦始皇)의 분서갱유(焚書坑儒)로 인해 인몰된 후에 한대(漢代)에 이르러 복생(伏生)의 구전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이것을 ‘금문상서(今文尙書)’라 한다.

이와는 별도로 공자의 옛집을 헐 때 벽속에서 나왔다는 『서경』이 있었으나 고문자인 과두문자(蝌蚪文字)로 되어 있어 해독하지 못하다가 한나라 무제(武帝) 때 공자의 후손인 공안국(孔安國)이 이를 금문으로 번역해 읽었는데 이것을 ‘고문상서(古文尙書)’라 하였다.

그러나 이 『고문상서』는 어떠한 이유에서인지 쓰이지 않아 차차로 없어지고, 동진시대(東晉時代) 매색(梅賾)이 공안국의 『고문상서』를 얻었다 하여 저술한 『위고문상서(僞古文尙書)』가 전해지는데, 이 책의 진위문제가 학자들 사이에 논란되어왔다.

저자는 이를 밝히기 위해 공영달(孔潁達)의 『상서정의(尙書正義)』, 채침(蔡沈)의 『서집전(書集傳)』, 모기령(毛奇齡)의 『원사(寃詞)』 및 선유의 제설을 인용, 『금문상서』와 『고문상서』의 내용을 일일이 고증적으로 비교, 검토하고, 매색의 『위고문상서』가 위작(僞作)임을 밝히고 있다. 『서경』 연구에 귀중한 참고 자료가 된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민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