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항 ()

화은집
화은집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의금부도사, 예조좌랑, 병조좌랑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사상(士常)
화은(和隱), 만은(晩隱)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72년(현종 13)
사망 연도
1736년(영조 12)
본관
수안(遂安)
출생지
평양
주요 관직
의금부도사|예조좌랑|병조좌랑
정의
조선 후기에, 의금부도사, 예조좌랑, 병조좌랑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수안(遂安). 자는 사상(士常), 호는 화은(和隱)·만은(晩隱). 평양 출신. 이계달(李啓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동의(李東義)이다. 아버지는 사헌부지평 이정한(李廷翰)이며, 어머니는 원주변씨(原州邊氏)로 첨중추부사 변진현(邊晉賢)의 딸이다. 유상운(柳尙運)의 문생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96년(숙종 22)에 진사가 되고, 1699년(숙종 25)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나 과거시험에 부정행위를 한 자가 있었다 하여 파방(罷榜)되었다. 이듬해 다시 설과(設科), 이에 급제하였다. 전적·직강·의금부도사·예조좌랑·병조좌랑·춘추관기사관·춘추관편수관·태천현감·어천찰방·병조정랑·덕천군수·경상도황장목경차관(慶尙道黃腸木敬差官) 등을 역임하였다.

문장에도 능하였다. 특히, 사륙변려체(四六騈儷體)의 문장에 능하여 1727년(영조 3) 사은 겸 진주사(謝恩兼陳奏使)로 청나라에 파견된 우의정 심수현(沈壽賢)의 종사관으로 그 문명을 떨쳤다. 또한, 서북지방의 방수(防戍)에 관심이 깊어 스스로 이 지역의 각 진을 살펴보고 방비책으로 7곳의 관방(關防)을 중령(中嶺)에 설치할 것을 건의하였다.

말년에 향리로 돌아와 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하여 20여 권의 책을 남겼는데, 그 가운데 『관서통지(關西通志)』는 서북지방의 경비와 관련하여 인물·산천·전부(田賦)·군량 등에 관한 견해를 수록한 것이다. 저서로는 『화은집』·『김장군유사(金將軍遺事)』·『서경지(西京志)』 등이 있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한국한문학사』(이가원, 보성문화사, 1982)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문수홍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