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백창 ()

현곡시집
현곡시집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부제학, 도승지, 경기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덕여(德餘)
현곡(玄谷), 천용(天容)
이칭
곡구(谷口), 대탄자(大灘子)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88년(선조 21)
사망 연도
1635년(인조 13)
본관
진주(晉州)
주요 관직
도승지|경기도관찰사
정의
조선 후기에, 부제학, 도승지, 경기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덕여(德餘), 호는 현곡(玄谷)·곡구(谷口)·대탄자(大灘子)·천용(天容). 정매신(鄭梅臣)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참봉 정원린(鄭元麟)이고, 아버지는 공청도관찰사 정효성(鄭孝成)이며, 어머니는 군수 홍의필(洪義弼)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06년(선조 39) 생원·진사가 되고, 1611년(광해군 3)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이듬해 주서를 거쳐 검열·봉교·대교 등을 역임하였다. 1613년 경망하고 아첨을 잘 한다는 탄핵으로 파직되었으나, 곧 대교로 복직해 오랫동안 사관(史官)으로 있었다. 사필(史筆)이 엄정했으므로 간당(奸黨)의 주목을 받았다.

1613년 광해군이 사관에게 신덕왕후(神德王后)의 옛일을 조사시키면서 모후에 대한 사건이 시작되었다. 이이첨(李爾瞻)이 사국(史局)을 위협해 이방석(李芳碩)의 처치전말(處置顚末)을 자세히 기록하게 해 영창대군(永昌大君)을 관련시키려 하자 그는 이를 거절하였다.

폐모론이 더욱 심해지자 이이첨 일당에게 몰려 다시 파직되어 경기도 양근(楊根)에 들어가 임숙영(任叔英)·이식(李植) 등과 더불어 은둔생활을 하니, 세상에서는 이들을 삼사(三士)라 불렀다 한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부수찬에 등용되어 헌납·교리·수찬을 거쳐, 1625년(인조 3) 보덕·사간·사인 등을 역임하였다. 이 해 사가독서(賜暇讀書: 문흥을 위해 유능한 젊은 관료들에게 휴가를 주어 독서에 전념케 하던 제도)한 뒤, 이듬 해 집의로 문과 중시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그러나 국구(國舅)인 그의 장인 한준겸(韓浚謙)의 덕택이라는 비난 때문에 관직에 취임하지 않다가 1627년 동부승지, 다음해 예조참의·대사간을 지낸 뒤 1631년 이조참판이 되었다.

이 해에 이행원(李行遠)의 치죄를 태만하게 한 죄로 다시 파직되었다가 1632년 대사간에 복직되었으나, 척신(戚臣)이라는 논란으로 취임하지 않았다.

좌부승지·부제학을 거쳐 도승지를 지내고, 1635년 경기도관찰사에 재직 중 병으로 죽었다. 술을 즐기며 사대부를 업신여겼다 하며, 시문을 잘하고 청렴하다는 칭송을 들었다. 저서로는 『현곡집』 7권 3책이 있다.

참고문헌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동주집(東州集)』
『현곡집(玄谷集)』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택당집(澤堂集)』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조계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