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혜 ()

선원집도서과기 / 정혜
선원집도서과기 / 정혜
불교
인물
조선 후기, 부휴계 승려로 『선원집도서착병』, 『별행록사기화족』, 『화엄경소은과』 등을 저술한 학승.
이칭
회암(晦庵)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85년(숙종 11)
사망 연도
1741년(영조 17)
본관
출생지
경상도 창원
주요 저서
선원집도서착병(禪源集都序著柄)|별행록사기화족(別行錄私記畵足)
주요 작품
선원집도서착병|별행록사기화족
내용 요약

정혜는 조선 후기 부휴계 승려로 『선원집도서착병(禪源集都序著柄)』, 『별행록사기화족(別行錄私記畵足)』, 『화엄경소은과(華嚴經疏隱科)』 등을 저술한 학승이다. 부휴계 보광 원민(葆光圓旻)의 제자이며 선교겸수의 방향에서 이력 과정 사집과의 『선원제전집도서(禪源諸詮集都序)』와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를 해석했다.

정의
조선 후기, 부휴계 승려로 『선원집도서착병』, 『별행록사기화족』, 『화엄경소은과』 등을 저술한 학승.
가계 및 인적 사항

성은 김(金) 씨로, 경상도 창원에서 1685년에 태어났다. 법호는 회암(晦庵), 법명은 정혜(定慧)이다.

주요 활동

9세에 스스로 뜻을 품고 범어사(梵魚寺)의 자수(自守)에게 출가했다.

가야산에 있던 부휴계 보광 원민(葆光圓旻)에게 구족계를 받고 경전을 배웠다. 편양파 설암 추붕(雪巖秋鵬)묘향산에서 호남으로 와서 주3을 열자 원민의 허락을 얻어 참여했다. 돌아온 그에게 원민이 주4을 전수해 주었고, 1711년(숙종 37)에는 율사(栗寺)에서 강의를 시작했다.

정혜는 환성 지안(喚醒志安) 등 당대의 선승 및 학승들에게 두루 배웠으며 금강산에서 참선정진했고, 석왕사(釋王寺) · 명봉사(鳴鳳寺) · 청암사(靑巖寺) · 벽송사(碧松寺) 등에서 주1에 매진했다. 매일 경전을 암송했는데 한 번에 500행을 외웠다고 하며, 주5에도 매우 뛰어나 모운 진언(慕雲震言, 1622-1703) 이후 부휴계를 대표하는 교학 종장으로 명성을 떨쳤다.

만년에 청암사주6 1741년(영조 17) 5월 20일에 입적했고, 김천 불영산 쌍계사(雙溪寺)가 세워졌다.

학문과 저술

저술로는 『선원집도서착병(禪源集都序著柄)』 · 『별행록사기화족(別行錄私記畵足)』 · 『화엄경소은과 華嚴經疏隱科』 · 『제경론소구절(諸經論疏句絶)』 등이 있다. 앞의 두 책은 현재 『선원집도서과기(禪源集都序科記)』 · 『법집별행록절요사기해(法集別行錄節要私記解)』라는 이름으로 전하고 있다.

정혜는 화엄에 매우 정통하여 수십 번 강의를 했고, 중국 화엄종의 오조 주7의 후신으로 추앙되면서 ‘화엄종 회암 장로’라고 불렸다. 18세기 후반 편양파 교학의 대가인 연담 유일(蓮潭有一, 1720∼1799)은 “『도서』와 『절요』에 대한 사기(私記)가 옛날에는 없다가 근래에 상봉 정원(霜峯淨源)이 주석을 남겼지만 너무 간략하고 설암 추붕과 회암 정혜의 사기가 상세히 갖추어져 있다. 그중에서도 회암의 것이 가장 뛰어나 제방에서 으뜸으로 삼았다.”라고 하여 높이 평가했다.

참고문헌

원전

『선원집도서과기(禪源集都序科記)』
『법집별행록절요사기해(法集別行錄節要私記解)』
『한국고승비문총집』

단행본

김용태, 『조선 불교사상사』(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21)
주석
주1

학문을 닦고 연구함. 우리말샘

주2

선종에서, 승려가 입산하여 안주함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

강의나 강연 또는 설교를 하는 자리. 우리말샘

주4

가사(袈裟)와 바리때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화엄종의 교의(敎義)를 연구하는 학문. 우리말샘

주6

선종에서, 승려가 입산하여 안주하다. 우리말샘

주7

중국 당나라의 승려(780~840). 화엄종의 제5조로 규봉 대사(圭峯大師)라 칭하였다. 교선 일치(敎禪一致)의 입장을 취하였으며, 저서에 ≪원인론(原人論)≫, ≪원각경소(圓覺經疏)≫, ≪우란분경소(盂蘭盆經疏)≫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용태(동국대학교 교수, 지역불교 및 불교사 연구(조선시대 불교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