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독견 ()

현대문학
인물
일제강점기, 「유린」, 「유모」, 『승방비곡』 등을 발표한 소설가이자 언론인.
이칭
본명
최상덕(崔象德)
필명
최독견, 구월산인, 벽파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1년
사망 연도
1970년
출생지
황해도 신천
주요 저서
승방비곡
주요 작품
승방비곡, 유린, 유모
주요 경력
동양극장 사장, 육군종군작가단 단장
대표 상훈
금성화랑 무공훈장
관련 사건
1959년 4월 월간지 『야화』 필화사건(筆禍事件)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최독견은 일제강점기에 「유린」, 「유모」, 「승방비곡」 등을 발표한 소설가이자 언론인이다. 본명은 최상덕(崔象德)이고, 황해도 신천에서 출생하였다. 중국 상하이(上海) 유학생 출신으로 상하이일일신문에서 교정기사로 활동 중 등단하고, 귀국 후 1920년대 프로문학적 성격의 소설을 다수 발표하였다. 그의 대표작은 1927년 『조선일보』에 ‘영화소설’이라는 표제를 달고 연재한 「승방비곡」이다. 대중연재소설 작가의 길을 걷는 동시에 중외일보사, 매일신보사, 평화신문사, 서울신문사 등에서 언론인으로 활약했다.

정의
일제강점기, 「유린」, 「유모」, 『승방비곡』 등을 발표한 소설가이자 언론인.
인적사항

최독견은 1901년 3월 15일 황해도 신천군 신천읍 무정리에서 출생하였다. 1910년 동네 서당에서 한문을 수학하고 1916년 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70년 6월 5일 사망하였다.

주요 활동

최독견은 1919년 기미독립운동의 영향을 받아 고등보통학교를 중퇴하고, 압록강 철교 밑으로 몰래 빠져나와 중국 상하이(上海)로 건너가 고학(苦學)으로 혜령전문학원(惠靈專門學院) 중문과를 졸업하였다. 1921년, 상해일일신문신문사(上海日日新聞社) 교정 기사로 활동하던 중 우연한 기회에 중편 『유린(蹂躪)』을 연재하며 등단했다. 1927년 『중외일보』 학예 부장을 거쳐 『매일신보』 근무, 해방 후 조선민주당 기관지 『황해민보』를 주재하고, 1952년에는 『서울신문』 편집국장으로 취임한 후 육군종군작가단 단장으로 전쟁에 참가한다. 1954년에는 『연합신문』의 편집국장, 1959년에는 『세계일보』 편집국장으로 활동했다.

최독견은 연극에도 관여하여 1935년에는 동양극장 초대 지배인을 하였고, 1938년에는 사장에 취임하기도 했다. 1940년에는 조선연극협회 이사를 역임하였으며, 박진(朴珍) · 이서구(李瑞求) 등과 신극단 청춘좌(靑春座) · 호화선(豪華船) 등을 조직하기도 하였다. 작가인 동시에 극장의 관리 및 운영 등을 담당하였는데, 희곡을 쓰거나 각색작을 무대에 올릴 때에는 ‘구월산인’이라는 필명을 사용했다.

최독견은 1959년 4월 월간지 『야화』를 창간했다가 필화 사건(筆禍事件)에 휘말리면서, 문단과 언론계에서 활동하지 못하게 되었다.

사상과 작품

1920년대 조선의 카프(KAPF) 열풍과 맞물려 최독견의 초기 작품은 프로문학적 색채를 띤다. 최독견은 생존을 위해 주인 영감과 통정하는 아내를 탓할 수 없는 박서방의 비애를 담은 「유모(乳母)」( 『조선문단』, 1926.6), 「바보의 진노」(『조선문단』, 1927.3)를 비롯해 「푸로 수기(手記)」( 『신민』, 1926.8), 「소작인의 딸」(『신민』, 1926.2), 「한 사람이 차지해야 할 땅」( 『조선농민』, 1926.8), 「책략(策略)」( 『문예시대』, 1926.11), 「고구마」(『신민』, 1927.2) 등 최독견 문학의 뿌리를 드러내는 작품들을 발표했다.

최독견은 1927년 『조선일보』에 ‘영화소설’이라는 표제를 달고, 금기의 사랑 이야기를 담은 「승방비곡(僧房悲曲)」을 연재하면서 이념적 성격에서 탈피해 대중소설가로 변신한다. 그 뒤 작품 경향은 초기의 경향적인 것에서 전환하여, 낭만적이며 감상적인 경향을 보이는 「자색(紫色)봉투」(『신민』, 1928.10), 「향원염사(香園艶史)」(『조선일보』, 1928∼1929), 「연애시장」(『신소설』, 1930.9) 해방 후 「낭만시대」(『조선일보』, 1964.11.∼1965.7.) 등을 발표하였다.

이 밖에도 단편 「괴뢰(傀儡)」( 『白民』, 1950.2)와 전쟁기에 발표한 「양심」( 『신천지』, 1952.5), 「애정무한성(愛情無限城)」(『서울신문』, 1952.7.~1953.2.)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최독견은 1955년 한국전쟁 종군 작가로 참전한 공로를 인정받아 금성화랑 무공훈장을 받았다.

참고문헌

단행본

강옥희 편, 『승방비곡(외)』 (종합출판 범우, 2004)
강옥희 외, 『식민지시대 대중예술인 사전』 (도서출판 소도, 2006)
김남석, 『조선 대중극의 용광로 동양극장』 1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8)
신영덕, 『한국전쟁과 종군작가』 (국학자료원, 200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