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가 ()

목차
관련 정보
국악
작품
전통 성악곡인 가곡의 하나.
목차
정의
전통 성악곡인 가곡의 하나.
내용

전통 성악곡인 가곡의 하나. 가곡 중에서 제일 마지막 곡이다. 「가필주대(歌畢奏臺)」 혹은 「편대(編臺)」 · 「대(臺)받침」이라고도 한다. ‘태평가’라는 이름은 그 노래말에서 따온 것이다. 「계면이수대엽(界面二數大葉)」을 주1한 곡으로 『삼죽금보(三竹琴譜)』의 「청성삭대엽(淸聲數大葉)」 주(註)에 의하면 “「태평가」는 「계면이수대엽」을 그대로 남녀 창으로 부른다.”라고 되어 있다. 대금 독주곡으로 널리 알려진 「청성자진한잎」은 다시 「태평가」에서 변주된 곡이다. 가곡 한바탕을 다 부른 뒤에 유일하게 남녀가 병창하는 곡이 바로 이 「태평가」이다.

음계는 황(黃) · 중(仲) · 임(林)의 3음으로 된 계면조(界面調)이며, 남창은 탁중려[㑖]로, 여창은 중려[仲]로 끝이 난다. 형식은 대여음(大餘音) 없이 5장과 중여음(中餘音)으로 되어 있고, 장단은 1장단이 10점 16박으로 가곡의 기본 장단을 사용하고 있으나 특이하게 연주된다. 즉, 처음 ‘이려도’에 해당되는 ‘초장’의 11박은 거문고만으로 연주되고, 제12박부터 노래가 나오면서 일제히 관현 반주를 한다. 장구장단도 처음에는 ‘변죽’을 쳐 나가다가 제4장 제5점인 제7박부터는 ‘복판’을 치고, 제5장 셋째 장단의 제5점인 제7박부터 다시 ‘변죽’을 침으로써 조용히 끝을 맺는다. 다음과 같은 단형시조시(時調詩)를 노래말로 하여 1곡만이 불리고 있다.

(초장) 이려도 태평성대

(2 장) 저려도 태평성대

(3 장) 요지일월(堯之日月)이요 순지건곤(舜之乾坤)이로다

(4 장) 우리도

(5 장) 태평성대니 놀고 놀려 하노라

다른 가곡들과 마찬가지로 단(單)재비로 된 거문고 · 젓대 · 세피리 · 가야금 · 해금 · 장구 등의 관현 반주에 맞추어 노래하나 반드시 남녀 병창으로 불린다. 한배는 1분 30정간(井間) 정도이고, 가곡 한바탕의 맨 마지막에 부름으로써 가곡의 대미를 장식하는 구실을 하는 지극히 느리고 화평스러운 기분을 자아내는 곡이다. 수록되어 있는 옛 악보로는 『휘금가곡보(徽琴歌曲譜)』 · 『방산한씨금보(芳山韓氏琴譜)』 등이 있고, 『가곡원류』에 노래말이 전해 오고 있다.

참고문헌

『삼죽금보(三竹琴譜)』
『한국음악론고』(성경린, 동화출판공사, 1976)
주석
주1

어떤 주제를 바탕으로, 선율ㆍ리듬ㆍ화성 따위를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연주함. 또는 그런 연주. 우리말샘

집필자
김정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