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미소요산 ()

목차
의약학
개념
소요산에 치자 · 목단피를 가감하여 제조한 약.
목차
정의
소요산에 치자 · 목단피를 가감하여 제조한 약.
내용

혈분(血分)이 적어 뼈가 여위어지고 기침을 하면 정기적으로 신열이 나며, 나쁜 기운이 주1에 있어서 오한(惡寒)이 났다 열이 났다 하고, 입이 마르고, 변비 등의 증상이 있으며, 혈분이 적어서 월경이 불순하고 가슴이 울렁거리며 잘 놀라고 얼굴이 붉어지고 입이 마르는 등의 증상에 사용하는 처방이다.

송나라 때 태의국(太醫局)이 편찬한 『태평혜민화제국방(太平惠民和劑局方)』에 수록된 소요산(逍遙散)에 가감(加减)한 처방으로, 1980년 김상효(金相孝)가 저술한 『동의신경정신과학(東醫神經精神科學)』에 소요산 처방에 치자(梔子) · 목단피(牡丹皮)를 가미(加味)한 처방이 임상으로 많이 응용되고 있다.

처방의 내용으로는 당귀(當歸) · 백작약(白芍藥) · 백복령(白茯苓) · 백출(白朮) · 시호(柴胡) 각 5.625g, 치자 · 목단피 · 생강 각 3.75g, 감초(甘草) 3.00g, 박하 1.875g이며,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임상응용으로는 피로성(疲勞性)으로 가슴과 손바닥과 발바닥에 열이 있고, 전신이 쑤시고 아프며, 머리가 무겁고 눈이 흐리며, 가슴이 답답하고 얼굴이 붉어지며, 입과 코 안이 마르며, 열이 나고 허한이 나며, 식욕이 줄고, 자꾸 눕고 싶어지는 등의 증상을 치료하므로 기관지 출혈(氣管支 出血)과 다선성 성기능 이상(多腺性 性機能 異狀) 및 이와 관련된 장애를 치료하는 데 응용된다.

처방 가운데 당귀와 작약은 양혈(養血)하고, 주2을 수렴(收斂)하며, 감초와 백출(白朮)을 도와 익토(益土)하여 심기(心氣)를 편하게 하며, 생강은 위(胃)를 따뜻하게 하고 가래를 없애므로 가슴 속을 편하게 하며 답답증을 풀고, 박하는 간과 폐를 다스려서 혈액순환을 돕고 역기(逆氣)를 통하며, 목단피와 치자는 청열지혈(淸熱止血)하는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소요산에 생지황이나 숙지황을 가미한 것을 흑소요산(黑逍遙散)이라 하며, 간비혈허(肝脾血虛)로 인한 월경시 복통을 치료한다.

참고문헌

『화제국방(和劑局方)』
『동의신경정신과학(東醫神經精神科學)』(김상효, 행림출판사, 1980)
『방제학(方劑學)』(이상인, 계축문화사, 1979)
주석
주1

경락의 하나. 삼초(三焦)와 담(膽)에 연관된다.    우리말샘

주2

주로 간장의 혈액과 간장 자체의 음액(陰液)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집필자
이상인(경희대학교, 한의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