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하탕 ()

목차
의약학
개념
담음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는 처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담음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는 처방.
내용

남송(南宋)의 의학자인 양사영(楊士瀛)이 저술한 『인제직지방론(仁濟直指方論)』에 처음 수록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허준(許浚)의 저서인 『동의보감』 내경편(內景篇) 2권에 담음(痰飮)으로 오는 병중에 쓰는 약으로 기재되었고, 황도연(黃道淵)의 저서인 『방약합편(方藥合編)』에 수록되어 축수이음(逐水利飮)시키는 효능이 있어 담음을 치료하는 데에 사용된다.

처방은 천궁(川芎)·반하(半夏)·적복령(赤茯苓) 각 3.75g, 진피(陳皮)·청피(靑皮)·지각(枳角) 각 1.87g, 백출(白朮)·감초(甘草) 각 0.93g, 생강(生薑) 5쪽으로 되어 있고, 물에 달여 복용한다.

임상에서 이 처방은 복막염·흉막염·담음협통(痰飮脇痛) 등의 증상에 많이 응용된다. 특히, 담견(痰牽)에는 백개자(白芥子)와 향부자(香附子)를 가미하고, 냉담(冷痰)에는 건강(乾薑)·계지(桂枝)·회향(茴香)을 가미하며, 해수(咳嗽)에는 패모(貝母)·행인(杏仁)을 가미하여 응용한다.

참고문헌

『동의보감(東醫寶鑑)』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