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지법 ()

목차
불교
의례·행사
불보살의 자비가 중생에게 베풀어지도록 기원하는 불교의례. 수행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불보살의 자비가 중생에게 베풀어지도록 기원하는 불교의례. 수행법.
내용

가지(加持)는 불보살의 가피(加被)를 뜻하며 가는 가피, 지는 섭지(攝持)의 준말로서, 불보살의 큰 자비가 중생에게 베풀어지고 중생의 신심이 불보살에게 감명을 주어서 서로 응하는 것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가호(加護)의 의미로 사용되며, 가지력(加持力)이라고도 한다.

이 의식은 불교 교리의 변천에 따라서 다양한 유형을 갖추게 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밀교가 성행했던 고려시대에는 여러 가지 가지법이 행하여졌지만, 조선시대부터는 불공가지(佛供加持)와 삼밀가지(三密加持)만이 명맥을 유지하여 오늘날에도 행하여지고 있다.

이 중 불공가지법이 널리 행해지고 있으며, 이는 불공을 올린 공덕에 의해서 가피력을 입으려고 하는 수행법이다. 삼밀가지법은 신(身)·구(口)·의(意) 삼밀의 수행에 의하여 가피력을 입고자 행하는 수행법이다. 그 수행방법은 손으로 수인(手印)을 맺어서 부처님의 법신(法身)과 같게 될 것을 상징하고, 입으로 진언(眞言)을 외워서 부처의 소리와 같은 소리를 내는 것을 상징하며, 뜻으로 중생과 부처가 하나인 것을 관(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현재 행해지고 있는 의식에서는 삼밀 중 구밀(口密)과 의밀(意密)은 성행하고 있으나, 신밀(身密)은 영혼천도의식인 관욕의식(灌浴儀式) 때 이외에는 행하여지지 않고 있다. 특히, 역사적으로 볼 때 삼밀가지법 중 구밀인 진언이 성행하였을 때는 범패(梵唄) 등 음악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고, 신업(身業)이 성행하였을 때는 미술에 영향을 미쳤다.

참고문헌

『석문의범(釋門儀範)』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大毘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대정신수대장경』18권)
『대비로자나불설요약염송경(大毘盧遮那佛説要略念誦經)』(『대정신수대장경』18권)
「한국불교의례(韓國佛敎儀禮)의 밀교신앙적구조(密敎信仰的構造)」(홍윤식, 『불교학보』12, 불교문화연구소, 1975)
집필자
홍윤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