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흥창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충청도와 경상도의 세곡을 운송하기 위하여 충주에 설치한 조창(漕倉).
이칭
이칭
좌수참창(左水站倉), 가흥창(嘉興倉)
제도/법령·제도
제정 시기
1465년(세조 11)
공포 시기
1465년(세조 11)
시행 시기
1465년(세조 11)
폐지 시기
1895년(고종 32)
시행처
의정부
주관 부서
호조
내용 요약

가흥창은 조선시대 충주에 설치되었던 조창이다. 충청도와 경상도 군현은 지역 내에서 거두어들인 세곡을 남한강을 경유하여 서울까지 상납해야 했는데, 가흥창이 그 세곡 보관과 수송의 거점으로서 기능하였다. 조선 전기 가흥창은 전국 9개의 조창 중 가장 큰 규모의 조창이었으나, 조선 후기 세곡을 납부하는 속읍(屬邑)이 줄어들면서 그 기능이 축소되었다.

정의
조선시대 충청도와 경상도의 세곡을 운송하기 위하여 충주에 설치한 조창(漕倉).
개설

가흥창(可興倉)은 조선시대 한강 수계(水系)의 대표적인 조창으로서, 조선 전기에는 충청도와 경상도의 주8을 보관한 다음 서울의 경창(京倉)으로 운반하는 조창이었다. 가흥창에는 세곡을 운반하는 선박인 주4과 수참선에 승선하는 주5가 소속되어 있고, 이를 중앙에서 파견한 좌도수운판관(左道水運判官)이 모두 관할하였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 경상도 세곡의 대일 외교 비용 지출, 경상도 북부 지역 군현 세곡의 주9, 경상도 남해안의 3조창 신설 등을 계기로 세곡의 징수 범위가 크게 줄어들었다. 그 결과 충주 가흥창의 책임자인 좌도수운판관이 주17 등 조선 후기 가흥창의 역할은 크게 축소되었다.

설치 배경

조선이 건국된 직후 충주에는 고려시대 조창인 덕흥창(德興倉)을 계승한 경원창(慶源倉)이 설치되어 있었다. 1403년(태종 3) 경상도의 3조창이 폐지됨에 따라 경상도의 세곡이 모두 충주에 집적되면서 경원창의 기능과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다. 그에 따라 1411년(태종 11) 조선 정부는 경원창에 200여 칸의 창고를 새로 건립하고, 현재 충청북도 지역인 충청좌도의 세곡과 경상도의 세곡을 보관하였다. 그러나 1461년(세종 7) 경원창이 대화재로 소실되고, 창고 앞 강물에 여울이 심하다는 이유로 1465년(세조 11) 현 충주 가금면 가흥리로 창고를 이전하였다. 주11로 이전된 이후에는 가흥창(可興倉)으로 이름을 바꿔 불렀다. 가흥창이 신설된 초기에는 별도의 창고 건물이 없었다. 그러다 1521년(중종 16)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70여 칸의 창고 시설을 갖추게 되었다.

내용

『경국대전』에 의하면, 조선 전기에는 서울과 지방의 선박을 관장하는 관청인 전함사(典艦司)수운판관(水運判官) 2명이 소속되었다. 2명의 수운판관은 좌도(左道)수운판관과 우도(右道)수운판관 각 1명씩으로, 한강 수계에 있는 가흥창은 좌도수운판관의 관할 구역인 좌수참(左水站)의 중심 거점이었다. 좌도수운판관은 종5품의 관직으로 충주 가흥창을 비롯하여 원주의 흥원창(興原倉), 춘천의 소양강창(昭陽江倉) 등의 한강 수계에 있는 조창을 관할하였다. 조선 전기 충주 가흥창을 비롯하여 흥원창, 소양강창 등 좌도 수운에는 총 51척의 선박 즉, 수참선(水站船)이 배치되었다. 하지만 19세기 초반에 작성된 『만기요람』에는 가흥창 수참선의 숫자가 16척, 19세기 중엽에 작성된 『대전회통』에는 14~15척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만큼 시간이 지날수록 가흥창에서 거두는 세곡량이 줄어들고 있었던 것이다. 수참선에는 1척마다 주13 1명과 주14 3명이 배치되었다. 그리고 사공과 격군에게는 1인마다 봉족(奉足) 주18 2명을 배치하여 각각 주15에 따른 조(租) 3석(石)을 징수하도록 하였다. 조선 전기 가흥창의 징수 구역, 즉 주6은 충주, 단양, 청풍, 괴산, 연풍, 제천, 영춘, 음성, 옥천, 영동, 황간, 청산, 보은, 청안, 진천 등 충청좌도 15읍과 경상도 모든 군현이었다.

변천과 현황

조선 후기 가흥창의 기능과 역할은 크게 축소되었다. 그것은 세곡을 동전으로 대납하는 작전 주19가 확산되었기 때문이었다. 임진왜란이 끝난 17세기 직후 가흥창은 충청좌도와 경상도 18읍의 세곡을 보관하였다. 그러나 1749년(영조 25) 경상도 상주, 안동, 예천, 문경, 용궁, 함창, 비안 등 조령(鳥嶺) 7읍, 1755년(영조 31)에는 봉화, 순흥, 영천, 예안, 풍기 등 죽령(竹嶺) 5읍의 세곡이 각각 작전되면서 가흥창의 세곡량은 대폭 줄어들었다. 심지어 1801년(순조 1), 1805년(순조 5), 1822년(순조 22), 1828년(순조 28)에는 각각 충청도 영춘, 연풍, 단양, 제천 등의 주16가 모두 동전으로 대납되었다. 이로써 19세기 중엽 가흥창의 속읍은 6개 군현으로 줄어들었다. 이와 같이 가흥창의 기능이 축소되는 것과 궤를 같이하여 1779년(정조 3)에는 좌도수운판관이 폐지되었다. 수운판관이 혁파되면서 충추목사가 주7이 되어 가흥창의 업무를 관장하였다. 18세기 중엽 이후 세곡의 작전제가 일반화되면서 수운(水運)의 필요성이 줄어들었고, 19세기 후반이 되면 조세 개혁으로 조운 제도는 폐지의 운명을 맞게 되면서 가흥창도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졌다.

의의와 평가

충주 가흥창은 조선시대 한강 수계의 대표적인 조창이었다. 조선 전기에는 충청좌도를 포함하여 경상도의 전세까지 모아 경창으로 운송하였기 때문에, 국가 재정 운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던 조창이었다. 조선 후기에는 경상도 지역에 별도의 조창이 신설되고, 경상도 북부 지역과 충청도 남한강 상류 지역의 군현에서 세곡을 작전(作錢)하면서 그 기능은 위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흥창은 조선 왕조 내내 남한강 중상류의 세곡 물류 유통의 핵심 거점으로 기능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세종실록(世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만기요람(萬機要覽)』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단행본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사: 24.조선 초기의 경제구조』(탐구당, 1994)
최완기, 『조선후기 선운업사(船運業史) 연구』(일조각, 1989)
문광균, 『조선후기 경상도 재정 연구』(민속원, 2019)

논문

김옥근, 「조선시대 조운제연구」(『부산수산대학 논문집』 2, 부산수산대학, 1981)
최일성, 「가흥창(可興倉) 고찰(考察)」(『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29-1, 한국교통대학교, 1994)
한정훈, 「조선 건국기 조운체제의 정비와 그 의미」(『진단학보』 120, 진단학회, 2014)
문경호, 「여말 선초 조운제도의 연속과 변화」(『지방사와 지방문화』 17-1, 역사문화학회, 2014)
정요근, 「고려~조선전기 조창(漕倉)의 분포와 입지」(『한국사학보』 57, 고려사학회, 2014)
문광균, 「17~18세기 경상도 북부지역 전세 조달방식의 변화와 作錢制(작전제)의 실시」(『조선시대사학보』 72, 조선시대사학회, 2015)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본래 납부해야 할 물품을 동전으로 납부하는 것을 작전(作錢)이라고 한다. 조선시대 가뭄이나 수재 등 자연재해로 흉년이 들면 백성들은 정규 부세인 전세나 대동세 등을 쌀로 납부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정부는 쌀이나 포목을 동전으로 대신 상납하도록 하는 작전(作錢), 작목(作木)을 시행하여 백성의 부세부담을 낮추고자 했다.

주2

조선시대 호수(戶首)가 정규 국역에 치르는 동안, 그에 대한 물적, 인적 지원을 위해 편제한 군인

주3

강의 본류와 그에 딸린 모든 지류. [때로는 딸린 호수까지도 이름.]

주4

고려ㆍ조선 시대에, 조운선의 수난(水難)을 막기 위하여 수로에서 앞장서서 인도하던 작은 배. 조운선을 도와 세곡(稅穀)을 운송하기도 하였다. 우리말샘

주5

배에서 허드렛일을 맡아 하는 하급 선원. 우리말샘

주6

큰 고을에 딸린 작은 고을. 우리말샘

주7

조선 시대에, 임금이 중요한 임무를 위하여 파견하던 차사원의 우두머리. 우리말샘

주8

나라에 조세로 바치는 곡식. 우리말샘

주9

물건을 팔아서 돈을 마련함. 우리말샘

주10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에 있는 이. 중앙탑면의 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대부분 평지와 구릉성 산지이다. 남쪽에 장미산이 솟아 있으며, 남한강이 북쪽 경계를 따라 흐른다. 평택 제천 고속 도로가 동쪽에서 남쪽으로 지나며, 38번 국도가 북쪽을 동서로 지난다. 우리말샘

주11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에 있는 이. 중앙탑면의 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대부분 평지와 구릉성 산지이다. 남쪽에 장미산이 솟아 있으며, 남한강이 북쪽 경계를 따라 흐른다. 평택 제천 고속 도로가 동쪽에서 남쪽으로 지나며, 38번 국도가 북쪽을 동서로 지난다. 우리말샘

주12

고려ㆍ조선 시대에, 조운선의 수난(水難)을 막기 위하여 수로에서 앞장서서 인도하던 작은 배. 조운선을 도와 세곡(稅穀)을 운송하기도 하였다. 우리말샘

주13

배를 부리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14

조선 시대에, 사공(沙工)의 일을 돕던 수부(水夫). 우리말샘

주15

공천(公賤)과 사천(私賤)이 치르던 구실. 우리말샘

주16

조선 시대에, 대동법에 따라 거두던 세금. 우리말샘

주17

묵은 기구, 제도, 법령 따위가 없어지다. 우리말샘

주18

조선 시대에, 군역의 봉족으로 일하던 수부. 주로 지방의 조창에서 수운을 맡아 하였다. 우리말샘

주19

조선 후기에 전세(田稅)를 돈으로 바치게 한 제도. 작전은 원작전과 별작전으로 구분하였으며, 별작전의 납세자들이 부담이 적었다. 원작전은 세미의 조운이 곤란했던 경상도ㆍ강원도ㆍ황해도의 지역에서 시행하였고, 별작전은 세곡선 침몰이 많았던 황해도의 장산곶 이북 10읍과 개성부의 3개 면에만 시행하였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